-
-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 슈필라움의 심리학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 김정운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이 몸으로 제안하는 슈필라움의 심리학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 21세기북스
"인생을 바꾸려면 공간부터 바꿔라!
구체적으로 애쓰지 않으면 행복은 결코 오지 않는다."

책을 읽기 전에는 몰랐다. 저자가 누군지.
전에 티비에서 많이 보였던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글과 그림이 있는 책이다.
언제부턴가 매체에서 잘 보이지 않았는데 책을 보니 교수를 하다가 늦깎이 유학생이 되어 그림까지 전공했다고 한다.
유쾌한 사람으로 기억되는 그는 뜬금없이 여수 인근 섬에 작업실을 만들었다.
그림을 그리는 화가니 어엿한 작업공간이 필요했다고~
그리고 그는 공간에 대해,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책은 조선일보에 '김정운의 여수만만'이란 제목으로 연재한 글을 모아서 펴낸 것이다.

처음엔 오롯이 여수에 관한 책인가 싶었다.
목차를 보니 여수의 봄여름가을겨울이 나오고 제목도 그런 느낌이기에
여수에서의 삶에 대한 이야기인가 했는데,
완전 아니지는 않지만~그것과 곁들여 심리에 관한 이야기, 사회문화적인 이야기들도 나오는데
읽다보면 참 아는 것도 많고 유쾌하니
직접 대화해보면 질림없이 재밌는 사람이겠단 생각이 들었다.

처음 들어보는 단어 슈필라움.
놀이와 공간이 합쳐진 여유공간,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자율의 공간을 뜻한다고 한다.
사춘기가 되면서부터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해지고, 방문을 걸어잠그게 된다.
그것을 저자는 독립된 개체로서의 자의식을 공간으로 확인하려는 것이라고 한다.
'심리적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 확보되어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공간이 의식을 결정한다'
그저 방해받지 않고 오롯이 휴식이 필요해 공간이 필요하다 생각했는데,
단순한 휴식을 넘어 의식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다니.
자동차가 오롯이 남자의 슈필라움이란 얘기에 웃음이 나왔다.
오빠가 그렇게 자동차를 애지중지했던 게 생각나서다.
그러고보니 남자도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하다는데,
보통의 집에는 안방은 엄마방이나 마찬가지고 집에서 남편 혼자만의 공간은 없으니
차에 집착할 수 밖에 없겠다 싶기도 했다.

그림도 생각보다 느낌있고 챕터와 어울렸다.
그림마다 찍힌 오리가슴은 오르가즘에서 따왔다는데.
책을 읽다보면 느끼는건데, 약간 느끼한 농담하는 아저씨 같다.
나름 유머로 풀려고 하지만 여자의 시선으로 봤을 때는 간혹 '굳이?!'란 생각도 들지만
어쨌든 가벼운 웃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
드문드문 있는 사진도 너무 매력적이다. 당장 여수로 가서 직접 바다를 보고 싶어진다.
여수의 미역창고를 개조해 화실과 서재로 꾸미고 있다는데 너무 부러웠다.
어릴 적 자신이 그렸던 꿈꾸던 곳의 그림과 비슷하다고 한다.
바다 바로 앞에 자신만의 공간이라니.
섬이기에 외로움은 당연한 몫이지만, 너무 뿌듯하고 기분좋을 것 같다.
어렸을 때 그림을 잘 그려서 칭찬을 많이 받았고 미술로 진학을 권유받았으나
형편때문에 건축과로 갔으나 맞지 않았기에 다시 심리학을 전공했지만
돌고 돌아 지금은 건축과 그림을 그리고 있다니.
정말 인생은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것 같기도 하고,
자신의 꿈을 계속 이어나가는 모습에 부럽기도 했다.
하지만 일반 땅값보다 두 배나 더 비싸게 사고
기상악화로 인해 공사비도 처음보다 두 배나 들었기에 가끔씩 울컥한단 글에 왤케 웃음이 나던지.
예상과 다르게 짓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기에 더 소중한 공간일 것 같았다.

유쾌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참 매력적인 작가란 생각이 들었다.
그의 삶과 문화와 심리학이 아주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모르는 정보나 사실에 대해서도 알게되는 지식적인 플러스측면과 함께
남이 보기에 흥미있고 재미나는 삶의 이야기로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지식과 깨달음, 공감 등등 여러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
또 책을 내면 읽고 싶단 생각.
프란츠 리스트의 '콩솔라시옹'을 알게 되어 자주 듣는데 너무 좋다.
* 읽다가 밑줄 쫙 그었던 부분들.
'시선은 곧 마음이다. 내 시선이 내 생각과 관심을 보여준다는 이야기다.
다른 동물들에 비해 인간 눈의 흰자위가 그토록 큰 이유는 시선의 방향을 드러내기 위해서다.
흰자위와 대비되어 시선의 방향이 명확해지는 검은 눈동자를 통해 인간은 타인과 대상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
'함께 보기'다. 인간의 의사소통은 바로 이 '함께 보기'에 기초한다.'
'우리의 걱정거리 가운데 정말 진지하게 걱정해야 할 일은 고작 4퍼센트에 불과하다고 한다.
결코 일어나지 않을 일이나 이미 일어난 일,
또는 아주 사소하거나 전혀 손쓸 수 없는 일이 96퍼센트라는 이야기다.'
'오늘날에는 남의 말 중간에 뚝뚝 끊는 것도 폭언이며 폭력이다
~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서 주고받기'다. 타인의 순서를 기다릴 수 있어야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이 다른 포유류와 구별되는 것은 바로 이 '순서 주고받기' 때문이다.'
'책을 꼭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도 버려야 한다.
띄엄띄엄 골라서 읽으라고 목차도 있고, 색인도 있는 거다.'
'지금 내 삶이 지루하고 형편없이 느껴진다면,
지금의 내 관점을 기준으로 하는 인지 체계가 그 시효를 다했다는 뜻이다.
내 삶에 그 어떤 감탄도 없이, 그저 한탄만 나온다면
내 관점을 아주 긴급하게 상대화시킬 때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좋은 책은 '새끼를 많이 치는 책'입니다.
읽다보면 더 읽고 싶은 책들이 고구마 뿌리처럼 딸려 나오는 책이 좋은 책이라는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