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을 썩게 만들고 살을 썩게 만드는 모래, 끊임없는 바람을 타고 생의 터전을 집어 삼켜버리려는. 살아남기 위하여, 벗어나기 위하여, 생존을 위하여, 부스러져 메마른 숨통을 메워버릴듯 흘러내리는 유동의 모래를 퍼내야 한다. 매일 밤

여기 모래구멍속 집이라는 무대 위에서 세계의 불합리한 침묵과 인간의 호소라는 두 주인공이 만난다. 순간 어두운 무대 뒷편에서 이 비극의 세번째 주인공이 얼굴을 내민다.

'여~ 부조리! 늦었구나. 그러나 너는 결코 늦지 않는구나.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이.'

어둔 구멍속을 들여다보듯 답답할 터이지만, 관객에게 주어지는 시점은 1인칭으로 한정된다. 한 인간의 몸이다.

아프고 답답하고 괴롭더라도! 혹은 쾌락에 몽왈몽왈 녹아난다거나 허무에 쌈을 싸먹건 말건 인간은 세계를 벗어날 수 없다. 벗어나는 일, 흙묻은 세상을 버리는 일은 상상속에나 존재한다. 마치 죽음과도 같이. 희망은 멋대로의 예정사항이다. 궂이 천재지변이 아닌 먼지한톨 바람한줌으로도 변경가능한. 물론 양해나 사전통보는 없는.

개척되거나 정복되어지는 삶은 티브이 오락프로처럼 하찮고 통속적인 것일 뿐이며, 멜로드라마 한편을 만들어 내는 것도 수많은 광고와 수고가 필요한 피곤하고 곤욕스러운 일이므로 다만 인간은 환상과 파편, 낡고 낡아 희뿌연 조가비 하나로 낭만적일수 있어야 하고 만족해야 한다. 뼈다귀 하나에 집착하는 개처럼.

당신에겐 희망이 있는가? 당신의 물통의 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는가? 고인 희망은 썩기 마련이고 흐르는 물은 덧없고 풍경은 그저 아름다울 뿐, 지구 위에서 누가 희망을 말하는가? 공중부양에 성공하기 전엔 모두 입닫아야할 이 이 이 이 망할!

부조리 속에서, 모래구멍 속에서 여자는 순종한다. 언제나 탈출을 꿈꾸는 남자이지만 그에게 애정을 느끼고 그 애정을 받아들이고 지켜가고 싶어하는 소박한 꿈을 위해 매일밤 모래를 퍼낸다. 삶을 지키기 위해 순간과 흐름에 대하여 절망의 삽질로 삶의 영역만이라도 확보하려는 그녀의 인생. 그녀가 주인공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