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원복 교수의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 세트 -전2권
이원복 글.그림 / 김영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직 다 읽지 못하였다.
솔직하게 말해볼까?
와인을 아직 다양하게 마셔 본 적도 없는 내게 이 책은 일명 '술술' 읽히긴 어렵다.
그럭 저럭 자주 마시긴 해도 늘 뭐.. 익숙한 와인을 주로 마시다 보니.
차라리 이 책이 맥주에 관한 것이면 더 좋지 않을까?
아마도 나는 맥주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커피를 더 선호하고.
커피에 관한 책도 조만간 하나 택할텐데, 어렵다. 왜냐하면 와인에 관한 책처럼
한 번 인기 몰이를 하면 관련 서적은 뻥튀기하듯 엄청 튀어나오기 때문에
정보의 홍수에서 정말 원하는 책을 고르지 못하고 매번 서점을 떠나게 된다.
나는 이원복씨를 좋아한다. 이원복 교수님이시지. 덕성 여대의.
더군다나 얼마 전 읽은 구본준의 '한국의 글쟁이들'이란 책에서 이원복 교수를 접하나 이후로는
더 좋아라 하고 있다.
이원복 교수는 그 책에서 당신의 집필 방식을 설명하기를,
"키워드가 반드시 있다고 믿는 신앙을 갖는 것"이 포인트라 하였다.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에서 풀어낸 키워드는 뭘까?
예를 들어,,
현재의 와인은 분위기이다?
와인은 문화이다?
와인을 마시는 것은 문화를 마시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의 표출이다?
뭐 이런? ㅋㅋ
'먼나라 이웃나라'는 이미 국민 도서, 국민 교양 만화로 자리매김한 지 백만년이 지났다.
그러나 내가 그 책을 접하였던 어린 시절에는 컬러로 된 만화책이 별로 없었다.
컬러로 몇 장이 나오다가 바로 흑백으로 넘어가는 fake아닌 fake의 안타까움이 있던 시절.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은 올 컬러!^^
사실 당연하다.
포도의 색이 백포도나 적포도 가릴 것 없이 하얀색, 검은색이라면 이 책이 무슨 실감이 나겠는가.
더불어 저자가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와이너리를 견학하며 찍은 사진들이며
와인 라벨, 역사 자료 등의 사진들이 컷의 약 1/3 이상은 차지하고 있다고 보인다.
두껍고 사진이 사진이 많이 들어간 여타의 와인 서적들과 비해 전문성이 떨어지지 않나 하는 우려는 내려놓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더불어 본의 와인 시장에 이상 현상을 이끌어낸 만화책 '신의 물방울'과 같이 극심한 '오버'적인 와인 설명이 주를 이루는 비현실성은 저자가 책의 초반부에서 이미 풍자하며 잘라 내었다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다 읽겠지~
지금은 읽고 있어도 그새 포도 품종이며 지명은 다 까먹고 있어.
아쉬워라. 스페인 와인이 프랑스 와인보다 유명하거나 내가 프랑스어를 배웠다면
난 더 쉽게 와인을 느낄 수 있었을 거야. 지식적으로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