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미래 - 앨빈 토플러 (반양장)
앨빈 토플러 지음, 김중웅 옮김 / 청림출판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숨겨진 부를 찾아가는 과정

미래의 부는 시간, 욕망 등이 총체적으로 충족되는 것이다.

 

비화폐적 경제가 부를 이룬다. 결국 현금이 사라질 날이 온다.

PROSUMING = PRODUCT + CONSUME (화폐를 대신하는 무형의 생산 활동)

NGO, VOLUNTARY

 

예전에는 DIY 정도였는데, 점점 프로슈밍의 개념이 진화하고 있다.

앨빈 토플러이기에 더 귀를 기울이는 것이 아닙니까

 

한국미래학연구원 원장 said

전 세계에 미래학을 알린 전도사, 앨빈 토플러

 

그의 저서들이 미친 영향?

- 변하는 미래에 대처

- 향후 기업의 전략 수립

그가 예견했던 것들이 맞아떨어졌기에, '부의 미래'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요약 & 망라했다.

대충 한 번 읽을 책이 아니다. 한 번은 아주 정독을 해야 하는 책이다.

특정한 한 페이지를 잡아서 진전이 없다. 곱씹어 보고,

지식기반산업에... 영향력을 생각하다 보면 한 페이지가 몇 시간이고 생각하게 만든다.

직관력을 기르거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에게 진정 권장한다.

 

부: 시간, 지식, 공간

부의 미래가 제4의 물결을 제시할 수 있는지 주목.

 

prosuming의 개념

knowledge

모든 지식이 부가 될 수 있을까?

미래의 석유 - 지식 (지식과 석유의 차이점은 지식은 사용할수록 창조된다.)

 

이휘성 IBM CEO

미래와 과학 - 특허

무형자산, 지적 자산은 과학을 토대로 이루어짐

이는 곧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짐

 

과학 지식의 활용 정도?

웹 2.0 - 현재 사용되는 웹의 진화모델로서, 정보의 개방성, 이동성, 연결성이 강화된 형태

 

무용지식(obsoledge) vs 유용지식

공간 space

가치 충돌과 문화 충돌을 어떻게 수용하느냐가 세계화의 관건

 

시간의 충돌 때문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시간

속도의 충돌 때문에 나라 간의 격차가 발생한다.

 

전세계에 미치는 영향, 속도적인 측면.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가....

속도의 충돌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 속도의 차이는 좁혀질 수 있다.

- 속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방법이 더 문제가 된다.

 

한국의 과다한 속도 지향과 북한의 문제

GREATEST OBSACLE. CHINA COULD BE. NORTH KOREA.

UNIFICATION PROBLEM. COULD BE MIGHT HAPPEN

THAT IS TYPICAL ECONOMIC

맞춤형 시간

UNNATURAL TIME

 

미국인들은 왜 그렇게 불행하게 보이는가?

보이지 않는 부의 증가 때문이다?

- 무형 자산

- WINE에 대해 아는 사람이 ..... 대단?? ㅋㅋ 개인적인 무형 자산... 그런 것들에 대한 지식, 정보를 가짐으로 우쭐우쭐??

- 앞으로 부는 경제학적인 기준이 아니라 사회학적, 철학적, 인간학적 차원에서 판단해야 한다.

- 어떻게 부를 만드나? REVOLUTIONARY WELATH, 부를 축적하는, 생성하는, 창출 시스템 자체가 혁명적으로 바뀐다는 의미 & 부의 정의 자체가 혁명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발상과 사고의 전환

유형 자산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무형 자산을 창출하라!

 

부디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변화를 기대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