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8
제인 오스틴 지음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누리 없이 소설이다. 명작이라고 해야 하나?

 

그 느낌.

TV 드라마로 비유를 하자면, 한 회가 끝나갈 무렵의 긴장감.

이 책 한권 읽는 데 며칠이나 걸리는 것에 버럭 버럭 끓어 오르며 겨우 다 읽었다.

 

짜릿한 긴장감.

1/3도 채 읽기 전에, 결말이 예상이 되지만,

읽는 도중에는 손을 놓을 수가 없는 그런 기분.

 

작품 해설에서는 이 내용이 절대 신데렐라 타입은 아니라고 말한다.

평범하거나 불행한 조연들도 있었고,

제인과 엘리자의 결혼은 우연이 적당히 개입된 일상의 한 부분이라는 표현?

(해설 부분을 좋아하지 않아서 대충 읽어버렸더니 정리가 안 되었다.)

 

다만,

내 느낌은..

아무리 주위에 여러 경우가 있더라도 가장 잘 되는 경우만 보이듯

엘리자의 행복한 결혼만 눈에 들어오고.

어차피 남녀간의 관계란 49:51의 법칙이라는 것을 잘 알지만

아직 어린 아이같은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을 간파당해 버린 기분.

 

형식은,

흘러 가는 대로 두기보단,

처음에는 지루할 수도 있게끔 끌다가도 결론은 순식간에 내버리더라.

동화책에서 '~~ 그래서 그들은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는 구절이 나올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까지 느끼게 되었다는.

 

그리고,

제인 오스틴이 18C 사람이더라고.

그 당시에는 이 책이 귀여니의 늑대의 유혹 같은 현대소설이었을 지도 몰라.

귀여니의 비유는 심하다면,

음,, 마치 '냉정과 열정 사이' 정도?

 

난 신사들의 직업이 궁금해. 무슨 일을 하기에 몇 주, 몇 달을 여행을 다닐 수 있고,

다른 사람의 집에서 그렇게 긴 기간동안 머무는 것도 대단하고.

여유롭게 보였어.

계급 사회여서, 하인들 덕분에 그들은 직접 생산 활동이 없는 것인가봐.

이 신사들의 직업이라고 언급된 것은 목사, 법조인, 군인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