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와 나혜석 그리고 까미유 끌로델
정금희 지음 / 재원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과거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태어나 각기 시대를 앞선 예술을 탄생시키고 시대의 비극에 스러져간 세 여성 예술가들에 대한 삶과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들이 바로 멕시코의 프리다 칼로와 한국의 나혜석, 그리고 프랑스의 까미유 끌로델이다.

 프리다 칼로

그녀의 삶을 보면 정말 어떻게 그렇게 살 수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놀랍다. 놀랍다는 말보단 사실 경악에 가까울 지도 모른다. 멕시코에서 태어난 그녀는 6세 때 척추성 소아마비에 걸려 오른쪽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되었고 나중엔 교통사고로 다시 척추와 오른쪽 다리가 골절되고 자궁을 심하게 다쳐 무려 32번의 대수술을 받아야 했다. 그후 그녀의 삶엔 늘 극심한 고통이 뒤따랐다. 그런 고통에도 그녀는 낙천적인 성격으로 크게 절망하기보단 그녀가 좋아했던 그림 그리기에 열중하며 자신의 고통을 예술로써 승화시키려 애썼다. 그녀는 유명화가인 디에고 리베라와 결혼을 하지만 여성 편력이 심한 디에고와 번번이 실패하는 임신으로 인해 더욱 고통과 슬픔에 찬 삶을 살게 된다. 그런 그녀는 그 모든 고통을 그림에 담았다. 무표정한 얼굴에 굳게 다문 입을 한 숱한 자화상들과 눈에 맺힌 눈물, 피를 흘리는 심장, 태아와 인형에 대한 모든 그림들은 그녀의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 짐작하게 해준다.

 나혜석

한국인이라면 우리의 과거가 얼마나 보수적이었는지 짐작이 가능할 것이다. 그런 과거에 여성이 유학을 다녀오고 열정적인 집필과 예술 활동을 하고 자유로운 연애관으로 사랑을 위해 가정을 등지는 행위가 얼마나 사회의 따가운 눈총을 받았을지 알 만하다. 그녀는 타고난 재능으로 뛰어난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매우 왕성한 활동을 했지만 항상 그녀의 뒤엔 불륜으로 인한 이혼녀라는 수식이 붙어다녔다. 훗날의 평가로 그녀는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라 불려진다. 당시 불모지나 다름없는 국내에 처음으로 서양화를 선보이고 서구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수용하며 독자적인 예술 활동을 해나갔던 그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녀의 삶은 복잡한 개인사와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이던 사회의 차가운 시선으로 점차 비극으로 치닫게 되어 결국 어느 병원의 무연고자 병실에서 행려병자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녀의 그림엔 프리다와는 달리 그 고독과 절망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게 특이할 만하다.

 까미유 끌로델

로댕의 연인으로 유명한 까미유 끌로델. 그녀의 삶 역시 불행과 좌절의 연속이었다. 그녀 또한 소아마비를 앓고 난 후 한쪽 다리를 저는 불편한 몸으로 일생을 살았다. 천재적인 재능으로 당시 여성으로선 드물게 예술 교육을 받았고 후에 로댕의 제자가 되기까지 한다. 하지만 로댕과의 만남은 그녀의 험난한 인생의 시초가 되었다. 로댕과 그녀는 불타는 사랑에 빠지고 함께 작품을 만들며 뛰어난 작품들을 탄생시키지만 까미유는 늘 로댕의 그늘에 가려져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로댕을 떠난 그녀는 작품 활동에 열을 올리지만 역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해 결국 파멸에 이르고 만다. 그리고 태어날 때부터 악연이던 그녀의 친모에 의해 정신 병원에 갇히고 그곳에서 30여년을 살다 쓸쓸히 죽게 된다.

 이상의 내용이 이 한 권의 책에 담겨 있다. 부족한 듯 하지만 그녀들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던 내게 충분한 가치를 주었다. 지면의 부족으로 많은 작품이 실리지 못한 게 좀 아쉽지만 말이다. 세 여성 모두 뛰어난 재능을 타고났지만 불행한 삶을 살다 갔다. 프리다는 늘상 병상에 눕곤 했고 그토록 가지고 싶던 아이도 갖지 못해 인형이나 애완 동물로 그것을 대신해야만 했으며 나혜석과 까미유는 고독과 절망 속에 쓸쓸하게 죽어갔다. 저자는 이들에 대한 안타까움에 그녀들이 오늘날 탄생했더라면 마음껏 자신들의 기량을 펼쳐나갔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작품이 빛나는 건 그것들이 모두 고통에 찬 그녀들의 삶 속에서 태어났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본디 위대한 예술은 고통과 암흑 속에서 탄생하는 게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