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 -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 101인의 가상유언장
도종환.황금찬 외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사람은 죽는다. 평생의 부귀영화를 다 누린 사람도, 평생을 길거리에서 빌어서 먹고사는 비렁뱅이도 죽는다. 누군가 말했던가, 사람은 똑같은 종말, 즉 죽음을 맞이하기에 평등하다고.

결국에는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이기에 지금 이렇게 아둥바둥 사는 것도 부질 없게만 느껴질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결과가 같다고 해서 그 과정마저도 같을까. 하찮은 개미도 일생이 다 다를진데, 하물며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은 어떻겠는가.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했다. 꼭 유명해져야만 이름을 남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나의 가족들과 지인들에게 이름을 남기고, 누구도 눈여겨 보지는 않지만 조막만한 땅에 세워진 비석에도 이름이 남는다.

오늘,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들의 유언을 읽어보았다. 물론 가상 유언이기에 그 절박감이야 생의 마지막을 앞둔 사람만 할까만은, 그래도 죽음이라는 명제가 쉬이 넘길 것은 아니라서 그 무게가 톡톡하다.

누구는 화장을 해서 산의 멋들어진 소나무 및에 묻어달라고 하고, 누구는 비석에 자신을 시를 세겨달라는 하고, 누구는 평생을 써서 남은 자신의 작품을 함께 묻어달라고 한다.

과정이야 다 다르지만 자신의 죽음 앞에서 당부하는 이가 태반이다. 아들에게 딸에게, 일생을 함께한 부인에게 남편에게, 자신을 소중하게 여겨준 지인에게.

읽으면서 눈물이 찔끔나기도 나기도 하지만 나에게 한가지 남는 것이 있었으니 나의 죽음을 어떻게 맞이해야 할 것인가 였다. 아니, 자세히 말한다면 어떻게 살다가 죽음을 맞이해야 할 것인가 였다.

나는 아직 죽기에는 젊은 나이다. 본문 중에도 있지만 죽음에 아이며 노인이며 조건이 있을까만은 시대의 평균 수명을 살펴보자면 나는 죽기에는 아직 젊다. 그래서 아직은 죽음에 대해서 실감을 할 수도 없고 이렇다할 얘기 거리도 많지 않다. 허나 언제고 찾아 올 수 있는 죽음이기에 진지해져보기로 했다.

마땅히 무덤에 넣어달라고 할 것도 없다. 이루어놓은 것이 없는 탓이다. 지인들에게 당부할 것도 없다. 평소 대인관계가 그리 순탄치 않은 탓이다. 부모님께는 한없이 죄송할 뿐이다. 불효한 탓이다. 생각을 해보니 정말 나에게는 남은 것이 아무 것도 없다. 가상 유언장을 쓴다면 미안하다, 죄송하다, 후회한다, 이런 말들만 빼곡하게 적을 수 있을 뿐 다른 것이 없다.

이것이 이제까지 내가 살아온 날들의 마지막인 것이다. 참으로 허무하다. 나름대로 치열하게 산다고 살았지만 정작 죽는다고 생각하고 보니 남는 것이 없다. 내 이름 석자 어디 한 곳에 남아도 부끄럽지 않게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남겨할 것들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책의 머리에 쓴 것처럼 시대의 문인들의 각자의 삶에서 느끼는 것도 많고 보는 것도 많았다. 문학적인 기록에 있어서 가치도 충분하다. 한 명 한 명 생각이 다르고 살아온 삶도 달라서 유언도 제각각이다. 거기서 슬픔도 눈물도 생의 반짝임도 보았다.

왜 이 책의 제목이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인 줄 알겠다. 죽음으로서 되돌아보니 이 짧은 생에 남긴 것이 없고 앞으로 살아야 할 날들이, 남겨야 할 삶들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