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대자, 창조주 혹은 세계의 진리로도 대변되는 신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 신화를 통해 그 존재의 유무를 떠나 인류의 역사와 오랜 시간 함께 해왔다. 이러한 신에 대해서 과연 신이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나 하는 문제 역시 오랜 시간 우리와 함께 해왔다. 신은 존재한다,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는지 하지 않는지 알 수 없다 등 많은 신의 유무(有無)에 대한 입장 중에서 특히 흥미로운 것은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무신론(無神論)이다. 무신론은 현대에 이르러 여전히 과학의 발전과 탈구조주의의 유행으로 말미암아 더 이상 새로운 것은 아니나, 그 역사가 유신론(有神論)에 비해 턱없이 짧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지금의 비약적 성장하여 무엇에 이르러 타당한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되었는지 알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한 이야기를 지금 리처드 도킨스는 그의 저작 『만들어진 신』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의 부제는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이다. 흔히 신의 존재론에 대해서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은 과연 신이 제 할 일, 그러니까 신에게 부여된 속성 중에서 가장 큰 것이 실제로 일어났는가 하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신이 세상을 만들고 인간을 창조했다는 것에 대한 증명을 할 수 있으면 신이 존재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질문에 있어서 다윈이 진화론은 곧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리처드 도킨스는 과연 어떤 방법을 제시했는가. 그는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 한 집단,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종교가 주는 의의와 신의 존재와 그의 기능에 대한 의구를 던졌다. 이를테면 종교가 오늘날 종교의 필요성을 말할 때 첫 순위에 꼽는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반대 입장과 신이 주는 것들이라고 밝힌 ‘상상의 친구·위로·영감’을 들어 그것이 마르크스가 말한 인민의 아편이라는 데에 입장을 굳힌다.

물론 종교와 신은 같지 않다. 신이 없는 종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유신론을 말하는 이들의 대부분이 종교인이라는 것과 무신론이 종교의 근간을 뒤흔드는 것임이 자명하기 때문에 종교와 신의 이야기는 뗄 수 없다. 신이 존재한다면 종교의 존재 역시 타당하게 되는 것이고, 신이 없다면 종교에서 하는 이야기는 모두 거짓이 된다. 신의 이야기가 재현되는 곳이 바로 종교라면, 종교의 필요와 기능을 반박하는 것은 신의 존재와도 직결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고로 이 책은 종교가 끼친 사회적 해악과 그의 순기능을 잃고 맹목적인 믿음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한 집단에 대한 전면적인 스트라이크라고 해야겠다.

처음으로 되돌아가서, 신이 과연 존재하나 하지 않나. 이것은 중요하지 않다.―책에서도 저자는 무신론의 맹점인 신이 없음을 증명할 수 없음을 이야기했다― 이제 우리는 사회를 되돌아보고 과연 신이 필요하나 필요하지 않나 하는 문제를 되돌아보아야 한다. 오늘날 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차별과 병폐만을 낳는 것이 신과 종교라면 어째서 우리는 그러한 사회에 대놓고 나는 ‘무신론자’다, 라고 말하지 못하는가.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사람을 위해 태어났다. 세상에 대놓고 나는 ‘무신론자’다, 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이 『만들어진 신』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