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셰익스피어는 없다
버지니아 펠로스 지음, 정탄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고 내가 처음으로 한 일은, 이 책의 장르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과연 서점에서는 이 책을 어느 장르에 포함시켰을까. 답을 알고 나는 안도했다. 적어도 독서하는 도중에 내가 느낀 감정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지 않아도 되어 좋았고 이 책에 대한 배신감을 서평에 토로할 수 있음에 다행이었다.
이 책의 장르는 ‘소설’이다. 셰익스피어는 없다고 단언하는 한 편의 잘 만들어진 허구인 것이다. 만약에 이 책을 읽고 이것이 사실이라고 확증하는 사람이 있다면, 죄송하지만 나는 그에게 소설이라는 장르를 좀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겠다. 겉으로는 참고문헌과 복잡 다양한 연구의 끝에 탄생한 하나의 걸출한 이론을 표방하고 있으나 속은 설득도 아닌 우기기의 끝을 보이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쓸모없는 논문은 논리가 없는 논문일 것이며, 가장 쓸모없는 이론은 역시 논리가 없는 이론일 것이다. 이토록 내가 논리, 논리를 부르짖는 이유는 이 책에 논리의 ‘논’ 자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허나, 이 책 소설이니 내가 그럴싸한 겉모습에 속았다고 치부하겠다.
셰익스피어의 실제 인물이 프란시스 베이컨이며 그의 가장 확실한 이유는 셰익스피어의 저작 중에서 튀거나 도드라지거나 이탤릭체나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들과 문장들을 조합했을 때 프란시스 베이컨의 삶과 합일 시키자면 비슷한 면이 있기 때문이라고 일단 저자는 말한다. 문제는 1. 오웬이라는 사람이 쓴 셰익스피어의 암호문이 모두 진실이라는 가정을 가정이 아닌 진실로 전제하고 시작한다는 점 2. 프란시스 베이컨을 셰익스피어라고 단언하는 데에 있어서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프란시스 베이컨의 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만 사용했다는 점―곧 프란시스 베이컨을 아예 셰익스피어라고 생각하고 그에 따른 설명이 없다는 것 3. 대조군과 더불어 논리의 역행과 같은 기초적인 논리성을 전혀 찾을 수 없다는 점 4. 이 책의 저자는 오웬이라는 사람의 책을 절반 이상 인용했다는 점 5.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자기가 좋을 부분만을 차용했다는 점이다. 물론 더 찾아들자면 다른 문제점도 많지만 가장 크게는 이렇다.
만약에 처음부터 소설같은 느낌의 소설이었다면 나는 읽는 내내 흥미롭게 프란시스 베이컨의 삶을 따라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물론 여기에서 다뤄지는 프란시스 베이컨의 생은 모두가 가정에 가까운 짜깁기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으나― 하지만 나는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며 설득당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끝에 가서 더더욱 설득당하지 않아 화가 났다. 일면 논리적인 방법을 차용해서 전혀 논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더더욱 화가 난 것이다.
영국의 튜더왕조의 비밀과 프란시스 베이컨이라는 실제 인물 간의 미스테리에 대해서 풀어나가고 있는 것을 차라리 강조했다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원래 밝혀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의심을 갖고 파해지는 것에는 수고가 따른다. 그 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것을 뒤집는다는 점에서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 책은 정말로 프란시스 베이컨을 열렬하게 사랑하는 한 작가의 수고로운 소설이다. 증거가 있다고 생각하고 음모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에게는 음모의 진실도 증거도 보여주지 않는다. 흥미로운 것은 프란시스 베이컨이라는 한 인물을 이토록 자세하게 뒤따르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진짜 인물과 엘리자베스 여왕의 친자식 이 둘 사이에 진짜로 프란시스 베이컨 말고는 들어갈 사람이 없는가. 물론 이 책에서는 그 어떠한 해답도 얻을 수 없다. 아마 프란시스 베이컨 본인도 저승에서 이토록 자신에 대한 자신도 모를 정도의 행적을 파해진 점을 의아해 하고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에는 진짜 셰익스피어가 없다. 책 안에는 모든 음모를 알고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저자와 그에 따라 만들어진 프란시스 베이컨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 사이에 셰익스피어가 낄 자리는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