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트린 M의 성생활
카트린 밀레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고 가장 고민한 것은 서평을 쓸 때 과연 본문인용을 할까 말까 하는 것이었다. 제목에서부터 포스가 풍기는 이 책, 사실 소설이라고 해야 할지, 경험담이라고 해야 할지 난감하다. 제목은 분명 카트린 M의 성생활이지만 작가가 밝힌 것과 같이 이건 작가 자신의 성생활을 나열(?)한 책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몇 년 전에 연예인 서갑숙 씨가 자신의 성경험을 책으로 낸 바 있다. 나는 그때 고등학생이었기에 내 신분으로는 그 책을 사서 읽을 수가 없었다. 19금이었으니까 말이다. 물론 한 친구의 부모님의 도움(물론 그 분은 스스로 읽으려고 한 것이었겠지만) 받아서 읽어 보았다. 나뿐만이 아니라 우리 반 전체가 그 소설을 읽었는데 순번을 정해서 돌려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담임선생님에게 들키지 않으면서 읽으려 했던 우리의 심리는 흡사, 집단 관음증과 비슷했다. 은밀한 것을 보려고 하는 욕망과 거기에서 얻어지는 일종의 쾌감. 사실 한 소설을 읽는다는 심정이 아니라 우리는 그때 금지된 성(性)이라는 성을 염탐하고자 하는 마음이 컸다. 실제로 한 여자가 자신의 섹스담을 풀어 놓았다는 것은 대한민국에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남자라면 또 모를까, 여자가 그것도 자신의 성경험을 얼굴 까놓고 말한다는 것에 윤리가 떨어졌다느니 하는 말들이 많았다. 그렇다면 이 책 프랑스에서 발간되었을 때 어떠한 파장이 있었나? 우리와 비슷하다. 꽤나 오랜 시간 동안 베스트셀러 자리를 굳건히 지켰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다른 것이라면 우리는 서갑숙의 책을 야설로서 읽었다면 프랑스에서는 새로운 시도의 소설로 읽었으니까 말이다. 물론 프랑스를 옹호하고자 하는 말이 아니다. 프랑스와 대한민국 사이에는 문화적 차이라는 게 존재하니까 말이다. 또한 읽어보면 어째서 새로운 시도의 소설로 여겨졌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그럼 본격적으로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이 책 카트린이라는 여성의 성생활을 풀어나가고 있다. 챕터를 살펴보자면, 수, 공간, 내밀한 공간, 세부묘사로 나뉘어져 있다. 그냥 쉽게 말하자면 카트린이 섹스를 하고, 공간에서 섹스를 하고, 내밀한 공간에서 섹스를 하고, 그 섹스를 세부묘사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니까 A to Z 모든 섹스를 기술한 것이다. 여기서 굳이 기술이라는 단어를 쓰는 이유는 섹스를 말 그대로 열정도 흥분도 없이 무미건조하게 기술했기 때문이다. 미술관에서 사람들 눈을 피해 몰래 섹스를 하고, 섹스샵에서 집단으로 섹스를 하고, 집에서 섹스를 하고. 상황부터 결말(?)에 이르기까지 세밀하게 묘사한 섹스담. 여기에는 서사도 없고 개인도 없고 로맨스도 없다. 오로지 카트린 자신 만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옳거니! 카트린 M의 성생활인 것이다.
자신이 겪은 일이되 감정의 차원에서, 회상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단순한 생활의 일부분으로 어떠한 미사여구도 없는 행위. 바로 그것이 우리가 상상하는 그들의 섹스가 아닌 카트린 M의 섹스다. 그러니 소설로 읽을 수밖에. 나도 사람이니 약간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책장을 열었으나 차갑고도 무미건조한 섹스들의 나열은 나를 하나도 흥분하게 하지 못했다. 나 역시 읽으면서 음, 이 여자가 그랬군, 하는 식으로 읽었으니까 말이다. 어쩌면 서평만으로는 잘 상상이 안 될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본문인용을 하고 싶지만! 그랬다간 어떤 돌이 날아올지 모른다. 부분만 턱하고 떼어 놓으면 어떤 야설에서 등장하는 씬인지 누구도 가늠할 수 없을 테니까. 하지만 그 연결고리에 카트린을 놓고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면 하나도 남다를 것 없는 그녀의 일상일 뿐이니까 말이다.
그러면 책을 다 덮고 남는 것은 무엇일까. 그건 갈증이라고 해야겠다. 채워지지 않은 나의 기대에 대한 갈증이 아니라, 시종일관 건조하게 말한 카트린에게 감화되어 느끼는 갈증이다. 또한 나도 반쯤은 그런 생각을 했다. 섹스? 뭐 별 거 있나. 말 그대로 성생활이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