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사랑을 이야기하다 - 신화 속에서 찾은 24가지 사랑 이야기
최복현 지음 / 이른아침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비평가 노스럽 프라이는 신화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의 극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그 신화 중에서도 우리는 어느 부분에서 극의 극을 보는가.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바로 그것은 사랑일 것이다. 우리는 신화 속에서 사랑을 보았을 때 비로소 인간이 가진 감정의 극단 중에 극단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희노애락오욕의 감정이 예리하게 도드라지고 연인은 그 위에서 춤을 춘다. 그리고 바로 신화에서 보여주는, 이 책에서 보여주는 것이 이것이다.

현실이 사랑이 무엇인가 물어도 대답이 없는 사회라면 신화 속에서는 그것이 거침없이 표현된다. 아름다운 외모를 좇는 사람과 마음만 맞는다면 도망치는 연인, 죽어서라도 이루고 싶은 마음 등 그들이 생각하는 사랑과 그 방식이 적나라하게 나타난다. 거기에는 윤리가 없다. 사랑한다면 누군가를 죽이고라도 차지해야하며 또한 피하기 위해서라면 죽는 것도 불사한다. 신화의 세계에는 오로지 감정이 법이다.

책의 첫 장에 있는, 아폴론에게서 영영 멀어지기를 자처하고 나무가 되어버리는 다프네는 어떠한가. 거부하는 자의 강렬한 마음, 소유하고 싶은 자의 욕망. 그 사이에서 현실에서는 찾을 수 없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파탄에 이르는 것을 찬찬히 읽노라면 이것은 신화라 하기보다는 오히려 애증이 발전한 우리네 모습을 보는 것과도 같지 않은가. 분륜, 도피, 근친상간 등, 지금 우리가 문학에서나 볼 수 있는 오만가지 상이 신화에 담겨 있다.

그런데 그 일을 겪는 당사자는 누구인가! 영원히 죽지 않고 전지전능한 힘을 가진 신이 아니던가. 그러한 신이 인간적인 감정을 겪고 그 안에서 무너지고 절규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그 당사가 신이 아닌 인간의 모습이라고 착각할 수도 있다. 전지전능한 신마저도 파멸로 이끄는 사랑. 그것은 우리가 가진 감정의 모순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것이 사랑이라면 그것을 겪는 것은 축복일지도 모른다고. 한편으로 사랑 때문에 눈이 머는 사람을 보면서 그것은 저주로도 느껴진다. 정말이지 사랑 그리고 나아가 감정이라는 것은 인간을 인갑답게 만드는 것이며 우리가 삶을 사는데 있어서 그 끝에 있다고.

예기(豫記)했듯 우리가 사랑이 가진 모습은 때로는 추하게 때로는 슬프게 심지어 아름답게 그려진다. 그리고 거기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는가. 우리는 우리의 모습을 거기에 투영하고 현재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욕망의 극단에 있는 그 아슬아슬함 속에서 어쩌면 불안함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토록 우리 안에 깊숙이 있었던 사랑이었고 감정이었기에 더더욱 심기가 언짢아질지도 모른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가질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울분일지도 모르고 현실 도피의 수단이 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신화에서 사람의 삶을 보고 감정을 보고 자신을 보고 더 나아가 현실을 보고. 이렇게 신화 안에서의 사랑은 우리에게 주는 것이 많다. 파멸의 세레나데와 사랑의 비가가 절묘하게 크로스오버를 시도한다. 저자는 신화의 끝에서 우리에게 말하는 것 같다. 우리가 가진 사랑이여, 그것은 누구도 거부하지 못하는 운명이라고. 심지어 신마저도 그랬듯이. 그러니 짧게 짧게 남겨놓은 저자의 감상은 우리에게 당신은 지금 당장 사랑을 하라고 외치는 것과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