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섬 ㅣ 그르니에 선집 1
장 그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199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기서 멀리 떨어진 섬이 있다. 그 섬은 지리적 위치에 기인한 섬이 아니다. 누구나 인간이라면 가지고 있는 혼자만이 살 수 있는 작은 섬이다. 그런 섬에서 화자인 '나'는 살아가고 있다. 그는 육체적 진실을 뛰어넘어 온전히 자신의 섬에서 틀어박혀 생활하곤 하는데 세상과 그의 사이에는 고양이 한 마리가 있을 뿐이다.
인간은 어쩌면 완벽한 소통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누구나 외롭다. 사실 상대와 완벽한 소통이 가능하다고 해도 완벽한 이해는 드물기 때문에 외로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타자와의 소통 단절은 곧 인간들이 사는 세상인 세상과의 단절을 가지고 왔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인 '물루'와 화자가 소통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진다. 그 흔하디 흔한 고양이가 그에게는 세상과의 완벽한 단절에의 소망을 거두는 상징으로도 느껴진다.
그는 어릴 적 무심코 봤던 모든 것이 일체 사라진 온전한 '공(空)'의 상태를 통감한 뒤로부터 야금야금 세상을 버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음 속에는 평안하게 쉴 수 있고 누구도 침입하지 못하는 인간이라고는 자신뿐인 섬으로 들어갔다. 그 섬에 이르기까지 그는 작은 배를 이끌고 무심코 느껴지는 인간적인 감수성을 노로 삼아 세상이라는 바다를 저으면서 갔다. 그리고 풍랑 이래봤자 이해 못할 것들만 가득한 파도들도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닌 편린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공고히 한다. 게다가 자신이 인간과 소통할 수 있는 것은 모든 인간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들, 이를테면 '죽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게 있어 오랜 여행과 외유는 자신에게 더욱 몰두 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매개체이다. 자신을 알고 인간을 쓰다듬는 것들로부터의 탈피는 어찌 보면 너무나 황량한 느낌이라서 자신에게 몰두하는 것이 대단히 고된 작업이라 하기보다는 외롭고 피폐한 작업이라고 생각게 만들었다. 끝없이 자신에게 침전하는 그의 모습은 대작을 만들기 위한 시인의 고뇌와도 같지만 곧 그가 쏟아내는 것들이란 미지에의 찬사에 가까운 것이라서 현실에 만족하고 또 찌들어 있는 나에게는 그저 멀리서 어렴풋이 들리는 환청과도 같은 것이었다. 어쩌면 나에게는 그런 그의 모습이 내가 절대로 시도할 수도 없고 완성할 수도 없는 모습으로 비춰졌기에 시기와도 같은 마음이 들어있다는 것은 시인한다. 하지만 언젠가 자신이 문을 열었을 때 남겨진 세상의 끝과도 같이 온통 비어있는 것을 발견하면 얼마나 슬플까. 나는 상상하기도 싫다. 그러니까 더더욱 나는 외로움이건 홀로 있는 침묵과도 같은 심사이건 간에 더욱 사람들에게 파고들 수 밖에 없는 사람이다. 이와 반대는 화자의 마음을 이해하기란 더더욱 미궁과도 같았다. 아름다운 단어들로 조합된 깔끔한 문장들 사이로 그저 잘 제단 된 옷이긴 하지만 나에게는 맞지 않는 옷을 보는 느낌이었다.
부드럽긴 하지만 그 안에는 포근함이 없고 아름답긴 하지만 그 안에는 음미할 맛이 빠진 무엇인가 화자와 나 사이에 고양이 마저 없는, 또 다른 공(空)을 보았다고 해야겠다. 그러니까 너무도 외딴 곳에 떨어진 심사이기에 내가 다가서기엔 배도 없고 파고도 높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