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1 - 신들의 보물에서 반지전설까지, 시대를 초월한 상상력의 세계
안인희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는 예전부터 문화를 집약한 상징의 이야기다. 대륙을 지배하는 이야기에는 그 대륙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의 풍속과 생활상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고 무엇을 신성하게 여겼으며 무엇을 공포의 대상으로 삼았는지도 알 수 있다. 농경문화가 지배적이었던 고대에는 이러한 신들의 이야기 속에 풍작과 자비로운 날씨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시대를 넘어 이러한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단순한 과거 우리 조상들의 생활상을 알아보는데 그치지 않는다. 가공할만한 힘을 지닌 전지전능한 존재들의 이야기 속에서 판타지적인 요소들을 끄집어내거나 원론적인 모티프를 끌어냄으로써 한층 문학적 기폭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물론 이 시대는 그것을 뛰어넘어 문학뿐만이 아닌 게임과 영화에서까지 두루두루 신화를 차용하고 있다.

 그런 신화 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알게 모르게 퍼졌지만 정작 자세히 알지 못하는 북유럽 신화가 있다. 고대 게르만들의 신화인데 일명 바바리안(야만족)들의 생활이 묻어 있는 이야기이다. 고대 로마의 침략에 맞서 끝까지 나라를 지켰던 독일을 비롯한 독일어권 나라들의 전역에 걸쳐있던 방대한 이야기인 북유럽 신화. 이 신화를 제대로 접할 수 있는 책을 만나기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정말이지 제대로 북유럽 신화를 접할 수 있었다.


 북유럽 신화에 대한 동경은 아무래도 고등학생 시절 판타지 소설을 접하면서부터였던 것 같다. 우리나라의 판타지 소설이나 게임들은 대게 북유럽 신화를 그 바탕에 두고 있다. 거인까지는 존재하지 않더라도 룬 문자와 마법이 등장하고 아스가르트와 중간계를 나누는 것하며 등장하는 몬스터와 신들의 체계는 이미 낯설지 않은 것들이다. 이를테면 본문에서도 여러번 인용되는 바그너의 '니벨룽겐의 반지'나 톨킨의 '반지의 제왕' 등의 텍스트에서 쉽게 북유럽 신화를 접할 수 있다.


 이렇게 사랑을 받고 있는 북유럽 신화가 우리나라에 소개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지난 것은 아무래도 그 체계의 복잡성과 자료의 방대함 때문이었으리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다방면에 걸친 노력으로 하여금 신들의 세계를 좀 더 밀접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저자의 노력 주에서도 가장 빛이 발하는 것은 단순히 신화를 소개하는 것에 지나치지 않고 다른 신화들과의 접목에 있다. 가령 전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숫자 3에 대한 숭앙을 북유럽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다른 예를 들어서 소개한 것이랄지 세계의 탄생에 있어서 기본적인 원소들의 결합을 다른 신화의 유사성과 들어서 소개한 것들 말이다.


 신화는 인간 생활의 아주 기본적인 것들에 대한 상징의 언어이기 때문에 널리 비슷한 부분이 두루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의 노력은 북유럽 신화에 대한 관심을 신화 자체에 대한 관심에까지 이끌어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는 것이다. 북유럽 신화에 관련되거나 그에게서 모티프를 차용한 소설들을 읽고 싶게 만든달지 그와 유사한 이집트나 그리스 로마 신화에까지 탐미하게 만드는 것이다.


 나도 이 책을 덮고 나서 북유럽 신화에 대해서 제대로 만났다는 뿌듯함도 뿌듯함이지만 더 나아가 다른 세계의 신화에 대해서도 탐독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결국 이 세계의 조상이었던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상징을 했는지, 많은 것들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