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경 왜곡의 역사 - 누가, 왜 성경을 왜곡했는가
바트 D. 에르만 지음, 민경식 옮김 / 청림출판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의 세상은 참으로 믿고 따르는 세상이다. 새우 꼬리에 예수의 형상이 나타났다고 경매에 올라와 비싼 값에 팔리고 과자의 모양이 예수를 닮았다하여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다. 어떤 이는 신을 보았다 하여 텔레비전에 나오는가 하면 또 어떤 이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종교의 세계를 픽션으로 써서 돈을 벌기도 한다.
실제로 신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참으로 신에 관한 웃지 못할 해프닝들이 많은 세상이다.
세계의 종교에서 신도의 수로만 따지자면 2위를 차지하는 기독교. 믿는 자가 많은 만큼 종교에 대한 관심은 신도들뿐만 아니라 비신도들에게도 있다. 그리고 그 신도들이 신의 사자(使者)라고도 믿는 성경.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바로 그 책은 참으로 매력적인 소재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성경이 없다면 유구한 세월 동안 어떻게 이 종교가 전파되었으며 교리가 생겼으며 그 유명한 동방박사들이 어떤 이인지, 골고다의 언덕에서 어떻게 죽음을 맞았는지 우리는 알지 못할 것이다. 게다가 그들이 믿는 신이 어떻게 말했는지 조차도. 그만큼 성경이 기독교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고 또한 절대적인 위세를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성경 왜곡의 역사』를 참 흥미 있는 책으로 생각했다.
제목을 읽고 나는 이 책이 성경에 대한 어떤 이단자나 무신론자가 펼치는 장광설들이 담겨져 있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첫 장을 여는 순간 내 기대는 단박에 사라졌다. 책은 단순한 흥미위주의 성경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성경 자체에 대한 심오한 본문비평가의 역설이 담겨져 있다.
총 8장으로 구성되어 목차를 따라가면서 읽다보면 서서히 의문들은 풀리고 지금까지의 본문비평학은 어째서 존재해야 하는가 혹은 본문비평학의 앞으로의 나아갈 길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책은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로 출발한다. 우리가 왜 성경의 왜곡에 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이야기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축자영감설(逐字感說)이나 성서무오설(聖書無汚說) 등의 지침에 대한 의심을 하게 되고. 그 뒤의 내용은 그에 대한 타당한 반증을 서술하고 있다. 책의 종교인 기독교. 어째서 책의 종교인지. 어째서 성경이 이토록 중요한 것인가? 성경은 언제 만들어 졌으며 언제부터 널리 읽히기 시작했는가? 지금의 성경은 어떻게 이루어진 것인가? 이 궁금증들은 책을 읽으면 말끔하게 해소된다.
허나 이 책의 주제는 성경 자체이기보다는 성경의 변개이다. 한창 기독교가 퍼져 나가는 시절의 고증을 통해서 성서는 어떻게 만들어 졌으며 어떻게 전승되었는가를 세심하게 설명하고는 그 중간에 벌어질 수 있는 본문의 변개를 상기시키며 중반 이후는 그 변개와 이문들을 바로 잡으려는 사람들과 본문비평학의 일반적인 원문에 가까운 사본을 분류하는 방법이나 본문 변개의 시대적 종교적 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면서 실례를 들고 있는데 이는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성경에서도 금새 찾을 수 있기에 더더욱 저자의 이야기에 심취하게 만든다.
대체적으로 작가는 일반인들을 위해서 쉽게 설명을 하고 있으며 그 역시 역자를 통해서 쉽고 세세한 이야기로 다가온다. 특히 주목할 점은 분류와 주제 소주제의 정리가 잘 돼서 읽기에 편하고 자칫 이해가 어려운 부분을 읽고 나서도 헤맬 일이 없다는 것이다.
다 읽고 나면 어떤 이는 성경에 대한 반박거리를 찾고 갈 것이며, 어떤 이는 종교에 대한 탄탄한 믿음을 갖게 될지도 모른다. 허나 나는 온전히 인간들이 가꾸고 전승한 이 종교에 대한 찬탄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21세기이다. 2006년이 지나도록 사람들의 손을 거쳐서 이 자리에 서게 된 종교. 이것은 철두철미한 신에 대한 종교가 아닌 실수도 있고 열정과 노력, 계략과 간계가 보이는 고스란히 인간의 종교라는 점을 상기 하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다. 더불어 앞으로의 본문비평학의 발전과 점점 변모하게 될 미래의 성경이 궁금하기까지 하다.
이 책의 내용은 이미 종결된 케이스가 아니다. 이것은 지금도 진행 중이며 미래에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끝나지 않은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