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리터의 눈물
키토 아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이덴슬리벨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 이런 상상을 해본다. 갑자기 내가 불치병에 걸리게 된다면 어떻게할까. 물론 부질없는 상상이다. 사람이란 닥친 일이 아니면 그렇게는 진지해질 수 없으니까.

가끔 텔레비젼에서 불치병,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모금 프로그램을 보게 된다. 대수롭지 않다. 볼 때는 슬프고 잠깐 눈물이 나기도 하지만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몸은 건강하기에 그런 것 따위 금새 잊는다.

이런 망각이 나에게는 사치일지도 모르겠다. 정작 본인은 평범하게 살고 싶을 뿐인데도 아무런 죄도 짓지 않았는데도 큰 병이 찾아오는 사람들 앞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는가.

일본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는 1리터의 눈물을 읽게 ‰榮?

소문은 익히 들어서 알고 있었다. 불치병에 걸린 소녀의 일기라는 것. 최루성 소설이라는 것. 드라마나 영화로도 나왔다는 것. 하지만 나는 책을 다 읽기 전까지는 내 생이 이토록 축복이라는 것은 알지 못했다.

아야는 평범한 학생이었다. 또래들이 원하는 것처럼 친구들과 즐거운 주말을 보내고 싶었고, 체육을 잘하고 싶었고, 국어와 영어에는 아주 자신이 있었고, 자신의 얼굴이 예쁘진 않지만 귀염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그런 평범한 학생.

그러나 아야는 병에 걸렸다. 그것도 불치병이다. 그래서 원하는 고등학교에서 계속 친구들과 다니고 싶었지만 자신의 병 때문에 양호학교로 전학을 가야했고, 마음것 뛰는 것은 꿈에서나 할 수 있었고, 밥을 먹는 것조차 일에 가깝게 느껴졌고, 평범하게 레코드 가게나 책 가게에 가서 쇼핑하는 것이 소원이었다.

우리의 삶에서 평범하게만 당연하게만 느껴지는 것들이 그녀에게는 한없이 부러운 것이었다니. 이 얼마나 슬픈 일인가.

아야는 말했다, 사람은 다 고통스러운 것이라고 하지만 왜 나는 이렇게 비참하기까지 해야하냐고. 하지만 실제로 비참하지 않은 삶이었다. 병마와 싸우기 위해서 하루하루 싸워나가는 그녀의 모습은 비참하기는 커녕 너무나도 숭고하기까지 한 것이라서 나는 놀랐다.

실제로 불치병에 걸려서도 이렇게 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아야 앞에서는 너무나 사치스러운 생각인 듯 하다. 그저 나에게도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포기하지 말고 살자. 라고 생각할 수 있을 뿐이었다. 어쩌면 지극히 식상한 주제일지는 몰라도 이것이 한 인간의 삶에 대한 처절한 투쟁이라고 생각하면 이미 이것은 식상함을 넘어선 그 '무엇'이라고 말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출판사에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 띄어쓰기가 잘못된 부분이 조금 보였다.

그리고 236페이지 셋째 줄의 '귀저기'라는 부분은 '기저귀'로 바꾸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