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니발 라이징
토머스 해리스 지음, 박슬라 옮김 / 창해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에 대한 감상을 쓰기 전에 나는 해묵은 이야기를 하나 꺼내려 한다. 바로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야기.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가 악한가 하는 이야기는 고대부터 이어진 빛바랜 화두 중에 하나다. 설에 불과한 두 가지의 이야기 중에서 나는 그 어떤 입장에도 서지 않으려고 한다. 굳이 선택하자면 난 이 두 가지를 합한 성무선악설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물론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선과 악을 동시에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도 조금은 심기가 불편하다. 그렇다면 성과 악이 전무한 상태에서 태어나 환경에 의해서 선한 사람이 되기도 하고 악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는 이야기는 어떤가?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래로 발달했던 인간의 내면에 대한 이야기는 환경, 특히 3세 이전의 생활에 의하여 규정된다고 하는데 이것 또한 심기가 불편하다. 왜냐하면 모든 것은 내가 기억할 수도 없는, 나는 손 쓸 수 없는 상황에서 일어난 일들로 내 일생이 결정된다는 논리가 마음에 안 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더 나아가서 선한 사람은 누구이고 악한 사람은 누구인가. 사회단체에 막대한 돈을 기부하지만 집에서는 아들을 상습적으로 때리는 남자가 과한 선한 사람일까, 악한 사람일까. 사람을 죽였지만 죽인 사람들이 부모와 가족에 대한 복수였다면 과연 그는 선한 사람일까, 악한 사람일까. 다른 예를 들어볼까. 50년 동안 산에서 수도를 한 대단한 고승이 입산하기 전에는 조직폭력배였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는 스님이었던 순간 동안에는 세상에 다시 없는 선인이었으나 과거 사람을 협박하고 죽이는 것을 업으로 삼고 살았다면. 지금 이 순간 그는 과연 선한 사람인가 악한 사람인가. 예가 길었지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인간의 삶은 복잡하고 사랑과 증오 즉, 애증이 교차하기 때문에 도저히 선인가 악인가 하는 하나의 절대적 지표로 가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죽기 전까지 한 사람이 완벽하게 선 할 수도 완벽하게 악 할 수도 있는가? 전쟁 중에 사람을 죽이던 사람들이 승전 하느냐 패전 하느냐에 따라서 영웅이 되는가 악한이 되는가! 이렇게 입장에 따라서 선과 악은 바뀌기도 하지 않은가.

 이 무거운 주제를 서두에 둔 것은 『한니발 라이징』에 나오는 우리의 한니발 렉터의 유년에 대한 이야길 하기 위해서다. 가족을 배신하고 식솔을 죽이고 가산을 팔아넘긴, 심지어 그 보다 더 악한 짓을 일삼은 무리에게 철퇴를 가하는 것은 과연 악인가 선인가. 어렵다. 분명 살인은 죄이다. 분명 법으로 심판을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법마저 이들을 처벌할 수 없다면. 그래서 제 손으로 그 사람들을 죽여야 한다면. 영영 잊고 살 수 없는 평생의 상처가 되어버린 것을 안고 살 수는 없다. 그러니까 그는 어느 쪽에서도 마땅할 수 없는 한니발 렉터였다.

 이러한 한이발 렉터의 선택의 기로에 함께 서서 내다보자. 당신은 어떻게 해야할까, 법도 도덕도 싹깡그리 없는 무질서의 향연에서 지울 수도 없는 상처로 영영 살아가야 하는 당신은 그 사람을 죽여야 할까 말아야 할까. 한니발은 전작의 작품과 같이 예상을 뒤엎지 않고 철퇴를 가한다. 하지만 그 누가 그에게 비난을 퍼부을 수 있단 말인가. 가족의 복수를 마땅히 한 사내에게 어떻게 비난만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작가는 한니발에게 이미 내제되어 있던 <악마적 본성>이 깨어난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처음에 말했듯 한니발이 악한 본성만을 가지고 태어났다면 그가 유년기 동안 당한 일들은 단지 그의 본능을 깨우기 위한 계단에 불과했단 말인가. 달리 말하자면 그가 만약에 전쟁을 겪지 않고 살았었더라도 그의 본성이 악마적이기 때문에 살인마가 될 수 밖에 없었을까. 그가 살인을 저지르면서도 복수와는 상관없는 사람들에게는 손끝 하나 대지 않았다는 것은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한니발 라이징』은 이 모든 무거운 질문을 던지고 결국 한니발이 편하게 잠들고 악마적 본능이 드디어 깨어났다는 식으로 끝나고 만다. 하지만 나는 달리 생각한다. 그가 악마적 본성을 지니고 태어나서 살인마가 된 것이 아니라, 복수의 끝에서 그 한 마디, 한 마디 말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그는 완전히 홀로 자신의 기억의 궁전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자신 또한 복수의 연장선 상에 있다는 것을 안 순간 그는 인간이 아닐 수 밖에 없게 되어버린 것이라고.  그 한 마디가 무엇인가 하면, 책에서 확인 하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