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1984 (양장) - 1949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조지 오웰 지음, 정영수 옮김 / 더스토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얼마 전 <이어즈 앤 이어즈; Years & Years>라는 영국 드라마를 정주행(몰아보기의 신조어?)했습니다. 10여 년에 걸쳐 민주주의가 어떻게 망가지고 디스토피아가 되어 가는지를 보여주는 드라마입니다. 이 드라마를 보며 떠오른 책이 바로 조지 오웰의 <1984> 였습니다. 드라마 속 영국이 최종적으로 이르게 되는 것이 <1984>의 빅브라더가 지배하는 세상이 아닐까요? 


"빅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조지 오웰의 <1984>는 전체주의 감시사회의 디스토피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빅브라더라 불리는 존재를 통해 대표되는 독재집단인 당과 그들에 의한 감시사회, 그리고 무력하게 무너지는 개인의 모습을 너무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 ... 거리에는 찢어진 종이와 먼지가 작은 회오리바람에 소용돌이치고 있었고 햇빛이 나고 하늘이 눈부시게 파란데도 사방에 붙어 있는 포스터 말고는 어떤 것에도 색이 없는 것 같았다. 거리가 잘 보이는 곳 어디에서나 검은 콧수염 얼굴이 내려다보고 있었다. 집 앞 바로 건너편에 포스터가 하나 있었다. 검은 눈동자가 윈스턴의 눈을 뚫어지게 쳐다보면서 '빅브라더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라고 을러댔다." p.11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이 전체주의 국가에서 언론조작을 담당하는 부서인 기록국의 직원으로 매일 매일 과거의 사실을 조작하여 현재를 정당화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본능은 진실과 생각의 자유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우연히 구입한 일기장에 자신의 생각들을 기록하며, 체제에 반감을 키우게 됩니다.  

 

"... ... 미래 혹은 과거를 향해, 사상의 자유가 있고 저마다의 개성이 존중 받으며 홀로 고독하게 살지 않는 시대를 향해, 진실이 존재하며 행해진 것이 사라질 수 없는 시대를 향해 글을 썼다. p.47


"... ...윈스턴 스미스는 오세아니아가 불과 4년 전에 유라시아와 동맹을 맺었

던 사실을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런 지식이 어디에 존재하는가? 곧 완전히 지워질 게 뻔한 그의 의식 속에서만 존재할 뿐이었다. 만일 당이 강요하는 거짓말을 사람들이믿는다면 (그리고 모든 기록이 똑같은 얘기를 하고 있다면) 그 거짓말은 역사가 되고, 진실이 되는 것이었다.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하고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

이것이 당의 표어였다. 과거는 본질적으로 바뀔 수 있었다. 그러나 바뀐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지금 진실인 것은 그게 무엇이든지 간에 영원히 진실이었다. 아주 단순했다. 끊임없이 자신의 기억을 눌러 이기는 것밖에 다른 길은 없었다. 사람들은 이를 ‘현실 제어‘라고 불렀고 신어로는 ‘이중사고‘라고 했다." p.57


하지만, 그는 애정부(비밀경찰)에 검거되어 고문과 전향교육을 받고 그의 인간성(생각의 자유를 지향한)은 철저하게 무너지게 된다. 


"... ... 당이 저지른 무서운 짓은 물질세계를 지배하는 인간의 힘을 모두 빼앗아 가는 한편, 단순한 충동이나 감정은 하찮은 것이라고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p.256


"윈스턴은 빅 브라더의 거대한 얼굴을 올려다보았다. 그가 그 검은 콧수염 속에 숨겨진 미소의 의미를 알아내기까지 사십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 오, 잔인하고 불필요한 오해여! 오, 저 사랑이 가득한 품안을 떠나 스스로 고집을 부리며 택한 유형이여! 그의 코 옆으로 진 냄새가 나는 두 줄기 눈물이 흘러내렸다. 그러나 모든 것이 잘 되었다. 싸움은 끝났다. 그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 그는 빅 브라더를 사랑했다." p.469


나치즘과 파시즘이 등장한 1930년대와 현재를 비교하면 비슷한 점이 너무나 많아 전체주의 시대가 될 것 같은 두려움이 일 정도입니다. 경제불황, 바이러스, 포퓰리즘(특히 인종주의, 혐오, 배제의 정치 등) 등 등... ...


민주주의는 선량한 시민의 무관심과 무사고(생각없음) , 그리고 대중 영합주의로 무너져 내립니다. 그리고 이렇게 무너진 자리 위에 재건되는 것은 전체주의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위험한 것은 이 전체주의가 지향하는 것입니다. 어느새 목표를 집어삼킨 수단(대부분 독재와 감시체제인 경우가 많습나디.)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의 정신적/물리적 자유는 철저히 제한 되는 것입니다. 조지 오웰의 뛰어난 점은 바로 이것입니다. <1984>를 통해 그는 디스토피아를 그리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그 체제가 어떻게 우리의 정신을 갉아내는 지를 폭로한 것입니다. 


30년 만에 다시 <1984>를 읽는 동안 내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느끼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지금 이 세상은 과연 <1984> 속의 그 디스토피아와는 다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