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커
라르스 케플러 지음, 김효정 옮김 / 북플라자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책을 보고 흠칫 놀랐다.

두께가 여느 인문서 못지 않게 두껍다.

그리고 표지에 한 번 더 놀랐다.

너무 적나라하지 않나??(내 취향은 아닌걸로..)


하지만 읽는 순간 모든 것이 용서된다. 두꺼운 내용도, 적나라한 표지도..

책을 그렇게 빨리 읽는 편은 아니어서 하룻밤만에 다 읽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손에서 놓을 수가 없다. 추리소설을 읽으면서 나름의 되도 않는 추리를 해가면서 이 사람이겠지 생각하면서 읽듯, 이 책 또한 내용을 이끌어가는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그냥 주말에 읽을 것을 도중에 후회할만큼..


대부분의 좋은 소설들이 다 그렇듯, 한문장 한문장, 한쪽한쪽, 머리에 그려질 듯 생생하게 내용을 이끌어간다. 사건이 일어나는 스톡홀름(스웨덴)에 대해 전혀 무지했고, 지금도 무지하지만, 왠지 그 골목들을 그 공원들을, 그 공장들을 실제로 본 것처럼 표현해 주고 있어서, 간만에 멋진 영화를 본 느낌이 든다.(실제로 영화로 만들어진다는 얘기도 들은 것 같고..기대된다). 그리고 나오는 인물들의 묘사 또한 탁월하다. 임신부 마고형사, 동료 아담, 정신과의사 에릭/넬리, 전직형사 요나, 앞이 보이지 않는 야키, 그녀의 딸 마들렌, 에릭의 환자인 루키 등등 모든 인물들의 특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제목에서 뻔히 드러나듯 범인은 스토커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서 누구나 다 스토커라는 사실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좋아하는 연예인이 어디서 뭘 하는지, 내가 좋아하는 누군가가 어디서 뭘 했는지, 우린 궁금해하고 마음만 있으면 어디든 찾아볼 수도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나도 분명 옛남친을 스토킹했을지도 모른다.


저자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를 살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여지는 나와 실제 나는 어떻게 다른지.. 등장하는 인물들도 그 이중성을 잘 표현한다. 겉으로는 가장 뛰어난 최면의 대가 정신과 의사라고 칭하지만, 실제로는 약에 많이 의존하는 에릭, 앞을 보지 못하는 엄마를 도와 반듯한 모습으로 생활하지만 학교 담벼락에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낙서를 하는 마들렌 등

우리는 모두 그런 양면성을 갖고 있으며, 그게 내 잘못이라며 죄책감을 갖을 이유는 없다는..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실수가 계속 반복이 된다면 그게 실수가 아닌 그 사람 자체이지만, 실수를 깨닫고 바꾸려 애쓰고 있다면 그 사람은 충분히 용서받을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는, 우리 주위의 친구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 주는 작품이다.

p.147

사투르날리아, 카니발, 흥청망청하는 술잔치. 모두 인간의 삶에서 절대 분리할 수 없는 유흥의 일종이었다. 숨을 쉴 때마다 죽음을 향해 한걸음씩 다가가는 우리는 노동과 일상생활에서 보람을 찾으려 하다가도 가끔씩은 오로지 우리가 자유로운 존재임을 증명하기 위해 단정한 생활을 뒤집어엎곤 한다.

p.245

최면에서 어려운 부분은 최면을 거는 것 자체가 아니라 환자의 뇌가 최대한 이완되면서도 실제 기억과 꿈을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만큼만 최면을 거는 것이다.

p.298

목사는 여자를 죽이고 보석을 빼낸 다음, 보석이 있던 자리에 피해자의 손을 얹어 그녀를 죽인 이유나 그냐의 잘못을 알리고자 했다. 십자가에 못 박아 처형하는 것처럼 그것은 죄를 널리 알리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었다.

p.319

사방이 칠흑같이 깜깜할 때는 더 이상 어두워질 수 없는 법이니까.

p.413

부자한테는 없고, 가난뱅이는 이미 갖고 있지만 죽음보다 더 두려운 것.

--무(無)

부자는 없는 게 없고, 가난뱅이는 가진게 없고, 죽음보다 더 두려운 것은 없어요.

p. 486

스토커들은 상상 속에서 피해자와의 관계를 발전시킨다. 그 관계가 실제로 존재하고 상대도 자신과 같은 생각인 줄로 믿는다.

어둠 속의 왕은 장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형이 편해지는 생각수학 1-1 (2023년용) - 새교과서 완벽반영 시매쓰 생각수학 (2023년)
시매쓰수학연구소 지음 / 시매쓰 / 201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큰애가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마음이 급해진다.

특별히 따로 가르친 게 없는 상황에서 아이는 덜컥 학교에 갔으니..

요즘 영어는 어떻다, 수학은 어떻다 말이 많지만, 딱히 이거다 싶은 건 없다.

특히 수학은 단순 연산 교육을 시켜야 하나, 그건 사실 지금 모르면 점수를 못받는 것 뿐이고,

크면 대부분 알게 되는 내용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이런 생각이 다른 사람들 눈에는 쥐뿔 아무것도 모르면서.. 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쥐뿔 아무것도 모르는 내 입장에서 고른 문제집은 <유형이 편해지는 생각수학>이다.



표지는 이렇게 정말 교육적으로 생겼다. 아이들이 호기심을 가질 것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

요즘엔 표지에도 신경을 많이 쓰는데..  내용에 비해 표지는 참 심플하다.




아이가 풀어본 내용이다.

다른 문제집과 달리 문제만 나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개념을 먼저 이해해하고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고있다.




제시된 그림은 상당히 다채로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그냥 연산 문제집처럼 숫자만 나열된 게 아닌, 동화책을 읽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개념을 잘 잡을 수 있게 설명된 내용은 내가 원하던 바이다.


엄마가 알고 있어도 설명하기 힘든 개념을 알기 쉽게 잘 써 놓았다.

문제 형식도 다양해서 한 권이 아닌 몇권의 문제집을 보고 있는 느낌이다.


단계별로 아이가 이해하고, 문제로 익히고,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잘 설명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수학을 이 책으로 가르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아이에게만 홀로 맡기기엔 조금 어려울 수 있겠다.


우리 아이가 읽기 능력이 부족한 경우일 수도 있지만,


내용을 스스로 읽고 개념을 파악하려면, 국어 읽기 능력이 중상은 되어야 할 것 같다.


부모가 옆에서 조금 도와 줄 수 있다면 아이에게는 이만한 수학교재는 없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단 톤즈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해오신 이태석 신부님이 2010년 1월에 돌아가셨다. 그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영화가 오늘밤 TV에서 방영됐다.

'나는 지금 잘 사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끝없이 갖게 하는 영화다.

 

늘 어려운 이웃을 돌보고 싶다는 꿈을 꾸었다. 어려운 가정 환경을 가진 아이를 돌보고, 어르신을 돌보고, 그런 봉사활동을 하며 살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다.

하지만 끝없는 나의 욕심 때문인가... 난 내가 가진 것을 내려놓지 못하고 계속계속 가지려 하고 있다.

물론 내가 가진 것에 감사한다. 내가 가진 많은 것에 대해 감사하고 고맙다. 그러면서도 좀더 조금만 더 갖고자 한다.  조금만 더 갖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염치없게..

 

이태석 신부님은자신이 가진 재능을 아낌없이 나누었다. 보상도 바라지 않고, 덕망도 바라지 않고, '산악인이 산이 있기에 나는 올라간다'고 하듯이 그분은 '어려운 그들이 있기에 나는 그들 곁으로 간다'고 하시는 것 같다.

 

여보야는 다연이가 절대로 성직자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나도 내가라면 모를까 우리 아이는 선뜻 용기가 나지 않는다. 그 친구 인생이니 그 친구가 잘 선택하도록 도울 수밖에... 대신 그 친구에게 '이 세상에서 가장 존경하는 사람은 우리 엄마입니다'라고 떳떳하게 말할 수 있는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