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잇] 김영하글, 현대문학

작가의 신간 소설을 은근히 기다려왔던 나로서는 작은 설레임으로 책장을 펼쳤다.

책의 첫머리엔 작가가 지난 7년간 여기저기 기고했던 글들을 모아 에세이형태로 엮은 책이라고 명시하고 있었다.

소설로 나타나는 작가는 독특한 상상력등 마음에 드는 구석이 있으나, 이상하게도 '굴비낚시'등의 에세이형식의 글들은 소설과는 대조적으로 지루하기까지 했었다.

[포스트 잇]은 지루함은 없었으나 예외는 아니었다.

이곳 저곳에 올려놓은 글들을 엮은 것도 좋으나 글마다 느낌이 살아있질않다.
일상의 파편을 모아놓은 것이 어쩌면 지금껏 전작품에서 보여준 소설가로서의 환상을 걷어버리는 것만 같다.

작은 소제목이 대여섯장을 넘기지않으니, 마치 드림위즈칼럼에 들어와 다른 이의 글을 술술 읽는 듯했다.

전철에서, 머리 복잡할때 그저 잡지를 읽는 가벼운 기분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기억에 남는 구절은 딱히 없으나 읽을 책이라곤 성서밖에 허용되지 않아서 할 수 없이 읽었다는 성서부분을 잠시 옮겨본다.

그렇담, 나의 중세는 언제였을까?

>>>>>>>>>>>>>>>>>>>>>>>>>>>>>>>>>>>>>>>>>>>>>>>>>>>>>>>>>>>>>>>>>>>>>>>>>

# 성서

(생략)

성서를 자발적으로 읽은 건 대학교 3학년대, ROTC전방입소훈련 때문이었다. 입소시에 허용된 책은 성서와 불경밖에 없었기에 나는 성서라도 집어들고 가지 않을 수 없었다. 신병교육대에서 진행됐던 그 혹독한 훈련이 끝나고 취침시간이 되면 담요를 뒤집어 쓰고 플래시에 빨간 셀로판지를 끼워 줄이고 성서를 읽었다. 그러니 그 시절은 나의 중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