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항아리] 와타나베 준이치 글, 고성미 옮김, 창해출판사

"실락원"으로 진가를 발휘했던 와타나베 준이치의 작품은 말만 들었지 아직 읽어볼 기회가 없었다.
[눈물 항아리]는 6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요즘들어 우연치않게 손에 잡게 되는 것들이 모두 단편집인 것 같다.
나름대로의 유명세로 기대를 많이 하고 읽었는데 생각보단 문체나 글의 구성이 그리 훌륭하단 생각은 들지 않았다.
레이몬드 커버작품을 읽고 난 후인지라 더더욱 비교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최근 읽은 두 작가를 굳이 비교해보자면 레이몬드의 단편집은 일상의 소소한 일이 예상치 않은 변화를 주는 등 잔잔한 가운데에서 펼쳐지는 반전이 매우 놀라웠던 것에 반해, 와타나베 준이치의 작품은 하나의 사건을 쭉 풀어나가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작품중 유난히 한장면이 영상화되어 내 머릿속에 남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레이몬드 커버는 하나의 단편에 여러 영상으로 내 기억속에 자릴 잡게 되는 경우에 해당되나 특별히 강하게 기억되는 영상적 장면에 대한 기억은 없고 단지 느낌들이 남아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눈물 항아리]는 떠오르는 하나의 영상만으로도 하나의 단편작품을 긴 설명없이 대신할 수 있을 것같은 책이었다.
6개의 단편은 "결혼반지 / 눈물 항아리 / 봄날의 이별 / 꽉 잡은 손 / 안녕, 안녕 / 후유증"등이다.
[꽉 잡은 손]과 [후유증]에선 와타나베가 과거 정형외과 의사생활을 했던 작가임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또 다른 작품들은 대부분 남녀관계에서 마음이 멀어지거나 헤어지 과정을 이야기로 풀어나가고 있다.
# 결혼반지
'...... 침대끝에 있는 스탠드의 은은한 불빛속에서도 반지를 빼고 난 흔적은 하얗게 두드러져 보였다.
치나미는 몸을 일으켜 속옷을 입고 잠시 생각에 뺘졌다.
이 선명한 반지의 흔적은 십 년이 넘게 혹은 자신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랜 세월에 걸쳐 만들어졌을 것이다.
당영한 일이지만 이 하얀 띠와 똑같은 흔적이 이 남자의 아내에게도 있을 것이다.
이 남자로서는 나름대로 자신을 배려해서 반지를 빼버렸지만 우습게도 이 남자가 얼마나 오랜 세월 아내와 함께해왔는지 세월의 길이와 무게를 과시하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 눈물 항아리
영국의 '본 차이나'가 소뼈와 흙을 50:50으로 섞어 만들어 도자기내의 무기질과 뼈의 유기성분이 서로 잘 맞아서 독특한 은은한 색깔을 내며 감촉또한 여느것과는 비교가 안된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그릇으로 자리매김 하게 된 것에 그의 아내는 암으로 죽기전부터 자신의 뼈로 항아리를 만들어달라고 남편에게 유언을 하게 된다.
아내가 세상을 뜨고 남편은 아내의 유언대로 아내의 뼈를 섞어 항아리를 구워 집에 놓고 살아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