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서평단 알림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신동준 지음 / 살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서평단 당첨으로 읽게 된 책이다. 책 제목이 독특하다.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라는 제목에서 보면 이 책은 조선의 왕과 신하들이 부국강병에 대해서만 논한 책인가? 그렇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이 책은 조선 시대의 역사를 저자 나름대로의 시각으로 논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조선의 패망 원인을 왕권이 미약하고 신권이 강한 이른바 ‘군약신강’ 의 왜곡된 통치 구도에서 찾고 있다. 그래서 그는 신권이 더욱 강력해지는 시기인 조선 말기시대의 세도 정치에서 조선이 망하는 원인을 찾고 있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흔히 알고 사색당파라는 붕당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흔히 좋다고 생각하는 왕도정치 또한 비판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은 조선의 이러한 모습을 거울삼아 현재 어려운 환경에 있는 ‘대한민국이 어떻게 부국강병을 해야 하는가?’ 에 대한 독자 나름대로의 답을 찾으라는 것 같다.
이 책을 보면 페이지 수가 꽤 된다. 그러나 페이지 수에 비해 읽는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았다. 그것은 이 책이 그만큼 재미있다 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이 재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인물 중심(정도전, 하륜,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연산군, 중종, 선조, 광해군, 인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을 기초로 한 역사적인 사건을 마치 소설처럼 구성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읽으면서 그 사건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부국강병보다는 군약신강의 측면에서 조선시대의 역사를 다시 재조명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정도전은 약간은 좋은 사람, 하륜은 나쁜 사람으로 보통 알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다르게 생각하고 있다. 정도전은 신권 우위의 국가 건설을 꿈을 꾼 혁명가로 만약 정도전이 집권이 계속 되었다면 이씨 조선은 없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하륜은 왕권 강화에 힘쓴 신하로써 그로 인해 조선의 왕권을 5백년 반석 위에 올려놓은 신하라고 말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저자의 시각을 느낄 수 있는 단면이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그는 세조를 나라를 위해 치욕도 감내한 임금으로 묘사한 반면, 우리가 조선을 부강하게 한 임금으로 알고 있는 성종을 어머니와 신하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임금으로 묘사하고 있다.
저자의 시각은 내가 흔히 알고 있는 식민주의 사관이나 민족 사관과는 조금 다른 사관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어떤 사관일까? 실용주의적 사관이라고 해야 되나? 잘 판단이 되지는 않는다. 여하튼 여러 시각으로 조선시대를 바라볼 수 있는 것은 나에게는 기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나로 하여금 뒤에 저자가 많이 참고 했다는 참고서를 읽게 하려는 열망을 자극시켜 주었다.
우리가 역사를 보면서 하나의 책, 하나의 자료에서만 고정된다면 정말 위험한 것이다. 스스로 많은 책들을 읽어보면서 자기만의 역사 가치관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이 책도 저자 스스로가 여러 가지 사료 등을 기초로 하여 자기만의 독특한 역사 가치관을 보여준 것 같다. 역사란 어떤 관점에서 보는 냐에 따라 매우 상반되게 기술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나도 역시 저자의 관점에 모두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저자는 나에게 새로운 시각을 보여 준 점에 대해 매우 고맙게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그리고 재미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