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과 마요네즈
나나난 키리코 지음, 문미영 옮김 / 하이북스 / 2000년 11월
평점 :
절판


어린 시절, 기름종이를 사진 위에 대고 희미하게 비치는 사진의 윤곽을 따라 그림을 그려본 적이 있었다. 그렇게 그림을 그릴 때 곤란한 점의 하나가 세세한 부분까지 따라 그리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사진이 생각만큼 선명하게 기름종이에 비쳐지질 않았기 때문에, 말 그대로 '윤곽'만을 따라 그릴 수 있을 뿐이었고, 희미한 부분들은 생략해버릴 수밖에 없었다.

KIRIKO NANANAN의 그림은 바로 이렇게, 사진을 먼저 찍어 놓고 그 위에 종이를 대고 그린 게 아닐까하는 혐의를 두고 싶을 만큼 '기름종이 그림'의 느낌과 가깝고, 그런 의미에서 사진의 느낌을 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어떤 만화에서도 만나지 못했던 이 독특한 그림체는 평범한 인물들의 평범한 일상을 표현하는 데,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을 객관화시키는 데에 이보다 더 좋을 수 없을 만큼 잘 어울린다.

<호박과 마요네즈>의 등장인물들은 정면으로 얼굴을 드러내는 경우가 거의 없다. 대개의 경우 그들은 옆모습이나 뒷모습, 혹은 고개를 숙인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간혹 얼굴이 드러날 경우, 그들은 멀리에 서 있어서 얼굴이 뚜렷하지 않거나, 담배를 피우느라 얼굴의 일부가 손에 가려진다. 더구나 그들은 한결같이 긴 머리를 가지고 있어서 조금만 고개를 숙여도 얼굴의 상당 부분이 머리카락에 가려져 버리는 것이다.

작가가 이렇게 자신의 주인공들을 정면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뒤에서나 옆에서, 혹은 멀리서 바라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쩌면 그것은 보다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려는 작가의 필사적인 노력인지도 모른다. 정면에서 그들을 바라보게 되면 그들의 모습 속에서 작가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될 것이고, 작가의 시선은 흔들리게 될 것이므로. 또 어쩌면 그것은 도시에서의 일상과 익명성을 표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장치인지도 모른다. 도시에서의 만남은 결국 상대에게 등을 보이거나, 혹은 상대의 등을 바라보는 것으로 끝나게 되는 것이므로.

<호박과 마요네즈>에서 주인공 츠치다의 독백은 스토리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요소이다.(실제로 이 이야기는 츠치다의 독백으로 시작해서 츠치다의 독백으로 끝난다.)

독백은 제대로 사용하면 작품에 윤기를 더해주는 거름의 역할을 해주지만 자칫하면 작품에 똥칠하는 격이 될 수도 있는, 양날의 검과 같다. 츠치다의 독백은 생략되어 있는 상황을 슬쩍 설명해 주거나, 그림으로 표현된 상황만으로는 읽어내기 힘든 츠치다의 심리를 표현해 준다.

글로써 상황을 설명하거나 등장인물의 감정을 드러내는 이유는 대개 작가의 역량 부족 때문인 경우가 많다. 상황과 감정을 만화적으로 표현할 만한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냥 쉽게 '말'로 설명하고 넘어 가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호박과 마요네즈>에서 츠치다의 독백은 작품에 문학적인 느낌을 더해줄 정도로 작품과 잘 어우러져서, 지나치게 객관적으로 묘사되어 자칫 건조하게 느껴지기 쉬운 스토리를 풍부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 오는 길에 슈퍼에서 파와 생선을 사고
- 국수집 앞을 지나면서는 배기구에서 풍겨나오는 맛있는 냄새를 맡으며 세이와 수다를 떨고
- 이런 사소한 것이 행복이라는 생각도 해 본다.
-어제 널은 빨래, 세이가 걷었네.
-나와의 약속에 일부러 지하철을 타고 칼같이 시간을 맞추어서 하기오가 왔다.
-세이가 잊고 간 아직 빨지 않은 옷이 아까워 빨 수가 없다.
-세이의 체취 때문에 빨 수가 없다.

'우리의 생활은 매일이 일상'이다. 그 '흔해빠진 일상'의 어느 한 순간, 문득 스스로의 삶이 무의미하게 느껴진다면, 낯선 만화방의 진열장 한 쪽에서 하늘색 표지의 이 만화 <호박과 마요네즈>를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혹시 그 낯선 만화방에서 <호박과 마요네즈>를 발견하지 못한다 해도, 뭔가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만화를 만나게 된다면, 우리의 일상은 아주 조금, 풍요로워질 것이다.

- 우리들의 이 흔해빠진 일상은 실은 아주 망가지기 쉬워서
- 끝내 잃어버리지 않는 건 기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