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이웃
김혜정 지음 / 문이당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써 놓고 보니 모두 삶이 쓸쓸한 이들의 이야기라는 작가의 말대로 수상한 이웃(김혜정, 문이당, 2006)은 사회적으로 현실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변두리 인물 군상들의 이야기가 담긴 단편집이다.

 

단편소설을 읽을 때 첫 작품이 좋으면 그 다음 작품도 기대하며 읽게 된다. ‘수상한 이웃’을 시작으로 ‘방씨의 하루’에서는 정점을 찍어주며 말끔하게 내리막을 달려 준 단편이었다. 사실 여기 나오는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중심에서 벗어난 변두리만 떠도는 인생들의 이야기로 단순히 비루하고 남루한 생에 대한 나열이 아니라 그 속을 살아 내야 하는 삶에 대한 시선이 돋보였던 작품중에 하나였다.

 

‘수상한 이웃’은 한 노파의 살인사건으로 인해 살인범으로 몰린 조용한 남자와 그 남자에게 한 밤에 봉변당할 뻔한 일을 구조당한 여자의 이야기이다. 영원한 이웃이 없듯 한번 이웃도 다시 봐야 한다는 씁쓸한 뒷내가 나는 이야기였다.

 

‘오리, 날다’는 졸지에 아버지를 여의고 배다른 어린 동생 두명을 양육해야 하는 처지가 된 남자의 이야기다. 남자는 어떻게든 동생들을 버리고 애인과 함께 아버지가 남겨준 돈으로 청춘의 삶을 살 생각이었지만 이상하게 발길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 미스터리하면서 과연 그 오리는 날았을까? 의문을 갖게 하는 ‘오리, 날다’였다.

 

‘낭만 고양이’는 누군가의 귀여움을 받다 길거리에 버려져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고양이들의 이야기이다. 시장 한 귀퉁이에 좋은 사람이 있다 생각하고 살아가고자 하는 이들의 삶이나 인간의 삶이나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이 측은하기만 하다.

 

‘등에’는 형에 대한 죄책감을 떨쳐내고자 애를 쓰는 인물의 이야기다. 형을 뛰어넘고 싶지만 결코 뛰어 넘지 못한 동생, 그리고 우연히 알게 되어 도움을 준 나타샤라는 러시아 여자를 찾아 헤매는데 그가 찾고자 했던 것은 사랑이었을까?

 

‘아내의 신부’는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이 마음의 병이 되어버린 아내를 생각하는 남자의 이야기이다. 아내가 신경과민으로 여제자에게 갖는 과도한 애증과 그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남편의 모습이 그려진다.

 

‘석구’는 학교나 사회에서도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 사내를 두고 동창들의 다양한 일화를 통해 그는 온전한 생활인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동창들에게 유형무형의 부담을 지우며 살아간 부정적인 인물의 이야기다.

 

‘서울야곡’은 가정 형편 때문에 노래방 도우미로 나선 한 가정 주부의 삶을 보여주고 ‘물속에서 걷다’는 한 중국 교포 여인의 도피행을 그린 이야기로 ‘등에’에서 비극적 최후를 맞은 러시아 여인 나타샤의 삶이 서로 닮아 있다. 그녀들은 최소한의 양심과 최선을 다해 자신과 가족의 행복을 위해 살지만 그들의 노력이 얼마나 고된가를 전해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방씨의 하루’는 용역 회사를 통해 어느 학교의 숙직 전담원으로 들어간 인물이 그 학교 교장과 형제간인 것처럼 닮음으로써 빚어지는 의외의 사건을 그린 작품이다. 궁지에 몰린 노인 방씨가 한 순간 장난끼가 발동해 자신을 멸시한 교장을 골탕먹일 작정으로 교장을 샤워실에 가둔채 하루동안 교장행세를 하고 또 교사들도 그것을 알면서도 그를 교장으로 알고 온갖 결재를 완료하는 교묘한 공모의 현실이 그려지는 작품이었다.

 

신문 기사에나 나올법한 이야기, 우리 주위에 있고 늘 주변인으로 살아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주변인에서조차 떠밀려 주변으로 내몰린 사람이나 동물들의 이야기들이 한데 엮여 하나를 이루고 있다. 이들을 통해 소외된 삶이 무엇인지 우리 주변을 다시 되돌아 봐야 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