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시대 - 뉴스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
알랭 드 보통 지음, 최민우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의 홍수 속에서 똑똑하게 뉴스 읽는 법. 알랭 드 보통의 책답게 박학하고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낮은 데서 피는 꽃 - 쓰레기마을 톤도에서 발견한 희망의 교육
이지성.김종원 지음, 유별남 사진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아무도 돌보지 않는 땅에서 묵묵히 희망을 심는 모습에 가슴이 찡해졌습니다. 서로가 서로를 밟고 올라가려고만 하는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2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도세자의 고백>을 읽으면서 사도세자가 마냥 불쌍했었다.

유능한 왕이 될 자질을 갖춘 사도세자가 당쟁의 희생양이 되어 뒤주에 갇혀 처참하게 죽다니.

왜 역사가들이 이런 사실을 숨기는 것인지 이해가 잘되지 않았었다.

그렇게 오랫동안 사도세자 당쟁희생설을 진실이라 받아들였는데,

우연히 서점에서 이 책을 만났다.

 

'사도세자의 죽음'에 얽힌 권력과 인간의 진실을 밝히다!'라니.

당쟁희생설에 대한 책인가 하고 차례를 봤더니 <사도세자의 고백>을 비판한 부분이 있어서

<사도세자의 고백>과는 다른 관점의 글이구나 싶어 어떤 논리일지 궁금해 읽었다.

 

깐깐한 아버지 영조, 그런 아버지 영조 밑에서 사도세자는 억압된 삶을 살았다.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었지만 아버지와의 불화 때문에 세자는 조금씩 미쳐갔다.

내인들을 죽이기도 했고, 심지어 칼을 들고 아버지를 죽이겠다고 나서기까지 한다.

자신을 죽이려 드니 영조도 어쩔 수 없어 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였다고 한다.

 

<사도세자의 고백>이 당쟁희생설이라면 <권력과 인간>은 반역설이다.

당쟁희생설이 진실이라고 믿었던 내가 <권력과 인간>은 당혹스럽게 다가왔다.

하지만 글을 읽어가다보니 이런 견해도 가능하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궁궐 사람들의 이야기에 빠져들었다.

 

이덕일의 의견이 100프로 옳은 것도 정병설의 의견이 100프로 옳은 것도 아니다.

새로운 사료의 발견과 새로운 관점이 등장한다면 새로운 의견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는 관점의 다양성.

사도세자의 삶에 대한 이해 외에 이 책에서 그것을 얻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2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8세기 조선을 읽어가는 것도 재미있지만, 뒤에 실린 이덕일의 주장을 반박하는 글이 알차다. 조선의 르네상스 이면에 감춰진 어두움이 가슴 아프지만 흥미롭게 전개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총사 1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개봉을 앞두고 김석희 선생님의 번역으로 출간! 겉도 속도 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