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콜드 블러드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트루먼 카포티 지음, 박현주 옮김 / 시공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984년 8월 28일. 뉴욕 타임즈 부고란에 한 남자의 사망을 알리는 장문의 부음 기사가 실렸다.

부고는 이렇게 시작된다.

 " 트루먼 카포티. 명징하게 빛나는 탁월한 문장으로 전후 미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이었던 그가 59세의 나이로 어제 로스앤젤리스에서 숨졌다. 카포티는 소설가이자 단편작가이며, < 인 콜드 블러드> 로 논픽션 소설 장르를 개척한 문단의 유명인사였다. 십대시절 첫 단편소설 <미리암>으로 데뷔한 이래 그는 총 13권의 작품집을 남겼으나, 진정을 위대한 미국 작가의 반열에 오르지는 못했다. 그의 오랜 친구인 존 말콤 브리닌에 따르면, 카포티는 명성과 부, 그리고 쾌락을 쫓는 데 자신의 시간과 재능, 건강을 탕진했다."

국내 영화팬들에게 트루먼 카포티란 이름은 오드리 헵번의 영화 <티파니에서의 아침을>의 원작자 정도로만 기억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이 국내에 제대로 소개된 적이 거의 없었던 탓이다.

카포티는 한미디로 '모순'의 인물이었다. 쾌활하고 다감한 그의 겉 모습 뒤에는 극도의 자기애와 이기주의가 버티고 있었고 미국 사회의 환면과 도덕적 붕괴를 정확히 짚어냈으면서도 저작 자신은 부와 돈, 그리고  명성의 노예였으며, 이성애 사회속의 동성애자였다고 한다.

<인 콜드 블러드> 이전 까지만 해도 저널리즘의 정도는 일체의 수식과 평가를 배제한 엄격한 중립성이었다. 그러나 카포티는 철저한 사실을 토대로 하나의 사건을 자신의 시각에 따라 픽션으로 재구성 했고, 그것이 기존 저널리즘의 사실나열보다도 휠씬 더 진실에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화를 먼저 본 탓도 있겠지만... 인간 카포티에 더 관심이 가는건 어쩔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리 엘리어트
리 홀 원작, 멜빈 버지스 지음, 정해영 옮김, 박선영 그림 / 프로메테우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빌리 엘리엇!!

내가 정말 좋아하는.. 손에 꼽는 몇편의 영화중 하나인데.. 원작 소설이 있었나? 싶어 잠시 글 소개를 보니..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소설화 시킨 것이란다...

원작(?)영화 자체의 감동이 인상적인지라 소설로 나온 이 책 또한 나를 미소짓게 만든다.

표지 그림에 별이 떠있는 하늘로 점프하고 있는 소년은 분명 발레리노를 꿈꾸는 빌리 일게다..

영화를 못보신 분들을 위해 내용 설명은 접겠으나...

이 작품을 보며.. 아버지란 존재에 대해 깊은 눈물을 흘린건 나 혼자만은 아닌듯 싶다..

영화든.. 소설이든.. 실제 인물을 토대로 만들어진 이야기의 감흥은 항상 마음 깊이 와닿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유 - 제120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야베 미유키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청난 분량을 자랑하는 <모방범>을 단번에 몰아서 읽었던 반면에 이번에 읽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분량이 적은(^^;) 한권이었는데도 꽤나 오랜기간동안 짬짬이 읽었다.

역시나 엄청난 수를 자랑하는 인물들이 매 챕터마다 등장하고, 이야기 초반에서 그들과 각 챕터의 이야기들은 그다지 관련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끔 이야기는 진행되어간다.

또한 <이유>에서의 이야기 진행은 여타 추리소설에서의 주인공, 이를테면 형사, 탐정, 사건해결자 또는 추적자 등에 의해서가 아니라, 무인칭이라고도 할수있는 화자에 의해, 사건 종결 이후에 이와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는 이들에게서 듣게되는 그들만의 진실, 사실들을 기술하는 취재, 조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초반부엔 소설을 읽으면서 다른분들도 비슷한 생각을 하신 분이 있을터이지만, 화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호기심이 무척이나 컷다. 미리 말하자면 <이유>에서의 화자는 이야기 진행을 위한 도구 정도이다. 소설의 중반부를 넘어가면서 이 화자의 기능에 대해 약간의 눈치를 채고나서부터 앞서의 호기심은 이미 사라져 버렸고, 화자는 미야베 미유키가 소설을 진행 시키기 위한 하나의 만능 열쇠 역할을 하는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도 이 무인칭 화자는 각 인터뷰이들의 말과 생각들을 빌어 주관적인 편집, 배열을 통해 나름의 의견을 개재 한다.

아무튼, <이유>는 이야기의 재미도 크지만, 이러한 이야기의 큰 틀, 형식 또한 흥미로웠다.

한편의 다큐멘터리 작품을 보고있는 느낌을 분명 받게될 것이다.

<모방범>을 읽었을때도 느꼈지만, 작가는 한 살인사건에 대해 지금의 사회이기에, 연결되어진 사건의 발생 '이유'를 신문기사 스크랩하듯이 조목조목 나열해 놓는다. 끔찍한 살인사건인데도 서슬 퍼런 칼날이 느껴지지 않는것은, 각 인물들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애정을 느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 애정이 없었다면 각 인물들의 '이유'에 대해 수긍할 수 없었을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서야 읽게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한국 야구 원년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초등학교가 아닌 국민학교를 다녔던 나로선..

그리고 삼미는 사라졌지만.. 지금도 삼미의 짧고 굵은 루저의 족적과 대비된 가늘고 긴 루저의 그것을 밟아온 롯데의 팬으로써 심히 공감가는 부분이 넘쳐 흐르고도 또 넘칠 지경이었다.

사실 박민규의 글이 심하게 재미있다는 얘기는 자주 들었던 터라 그 부분에 있어서 토를 달 것은 없었다.

단지. 그 이면의 내공이 새로울게 없었다는것이 그저 약간 섭섭했을 뿐.

그런 면에서 볼때 <삼미...> 에서 초반 부의 살아있는 경험에서 나오는 야구광 소년의 이야기는 배를 잡고 뒹굴 정도의 재미를 주었다. 뭐 대단한 의미가 있을 필요도 없고, 그 속의 저의를 파악할 필요도 없다. 그저 그 시절의 추억을 떠벌리는 박민규의 글.글.글.글.... 만으로도 충분히 재미 있기 때문이다.

그 이후의 내용은... 글. 글. 글.... 자체의 오버를 자제하면서 (주인공이 커 버렸기 때문일테지만) 당연한 수순처럼 자제한 만큼 생각의 여지를 주지만.. 그 여지 또한 당연한 범위 내에서 호흡 가능한 정도이기에 상대적인 강도가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건 어쩔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민규의 글.글.글 자체의 재미만으로도 충분한 책이었다고 본다.

계속 나올 그의 글을 왠만하면 계속 읽게 될것 같은데...

앞으로 갈 길이 먼 작가의 첫 팬클럽 창단식에 나도 가입 했었지....라는 기분이 들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왕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주문을 던져노코 기다리던 차에 어느 리뷰어의 글을 읽고 내심 기대가 커져 버렸다..

아래는 그 내용이다..

 미스터리를 예상하고 읽으면 좀 난감한 면이 없지 않아 있으나 전혀 소설저긍로 모자라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이 작가의 책은 매우 가볍게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곰곰이 생각해 보면 진지한 내용이 많으며, 무서우리만치 잔혹한 것이 특징이다. ‘마왕’은 그런 ‘어두움’이 잘 표현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마왕’에는 시가 2편 인용되어 있다. 주인공은 시를 읽고 충격을 받아 싸움을 준비하지만, 그 대결 상대 또한 비슷한 나이였다. 나 또한 책 속에서 선동당하는 사람들과 비슷한 나이대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그 시를 읽고 세뇌되어 어떻게 되는 일은 다행히도 일어나지 않았다. ‘호흡’에서 동생이 싸움의 결의를 품는 상대 또한 형과 비슷한 연령이었다는 사실이 새삼 생각난다.

출처 '일본 아마존' (http://www.amazon.co.jp)

 

무서우리만치 잔혹하다.. 는 말이 괜시리 나를 흥분 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