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러드 온 스노우 ㅣ Oslo 1970 Series 1
요 네스뵈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16년 3월
평점 :
요쌤~~~ 이건 배반입니다. 배신입니다. 이렇게 얇은 책을 내시다니요. 얇다고 미리 알고 있었습니다. 다들 얇다고 했으니까요. 그래도 어느 정도는 될 줄 알았죠. 요쌤이시니까요. 6백 페이지는 기본으로 넘기시지 않습니까. 그런데 2백 페이지도 안 되는 이야기라니요. 기다렸는데 너무 하세요~
기본적으로 스릴러라는 장르는 책이 두껍다. 한두명이 죽는것이 아니라 여러 명의 사상자는 기본이요 스케일이 크면 전 세계적으로 누비고 다니는 주인공들 때문에 이야기가 복잡할수 밖에 없다. 전반에 걸친 배경 설명이라던가 인물소개는 기본이다. 시리즈로 연속되는 이야기라 하더라도 이 주인공이 어떠한 삶을 살아 왔는가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도 빼놓을 수 없다.
때로는 오래전 역사까지 인용된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페이지수는 많아지고 책은 두꺼워진다. 그러나 그 두꺼움을 사랑한다. 아마도 스릴러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두꺼울수록 좋다! 를 외칠수도 있겠다. 분권은 사절이다. 두꺼운 책이 팔목이 빠질 정도로 들고 보는 재미란 말로 이루 형언할 수가 없다. 그 팔아픔이 조금씩 줄어들어 마지막 페이지를 향할 때 쯤이면 시속 200을 넘는 속도로 페이지를 넘기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만큼 가독성은 필수여야만 하는 것이 이 스릴러 장르이다.
그중에서도 요네스뵈라는 작가는 독보적으로 방대한 이야기를 요리조리 잘 엮여서 독자들 앞에 선보이고 있다. 그런 요네스뵈의 새로운 작품이다. 그런데 이 책, 이전의 그의 책과는 다르다. 아주 많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두께부터 기존 책의 삼분의 일 밖에 되지 않는다. 그 모든 원인은 옮긴이의 말을 필수적으로 읽어야만 한다.
요네스뵈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납치'라는 제목의 책의 영감을 받는다. 크라임소설 작가, 톰 요한센이 납치된다는 이야기이다. 주이공이 작가이니만큼 당연히 그가 쓴 소설이 존재한다. 소설속의 주이공이 쓴 이야기가 바로 이 책 [블러드 온 스노우]와 [미드나잇 선]이다.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얇은 페이지가 이해된다. 요네스뵈는 한술 더 떠서 그 작가를 실존하는 인물로 만들어서 그의 책 두권과 함께 자신의 책 '납치'를 출판하려고 계획했으나 법에 저촉된다는 소리에 무산되었다. 그러나 그의 책 '블러드온 스노우'는 그대로 우리 손에 들어왔고 '미드나잇선' 궁금해진다.
같은 작가가 쓴 작품이긴 하나 이 책은 엄연히 톰 요한센이 쓴 작품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기존 요네스뵈의 작품과는 다르다. 그의 작풍이 아닌 것이다. 약간은 빈 듯한 부분이 보이는 것이 장점이다. 느슨함을 자랑하고 있고 사건도 그렇게 많은 사건이 연달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방면의 대가답게 이해하지 못할 장면은 그 하나도 없다. 장면장면이 약간은 허세를 띠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요소오요소에 적당한 인물들과 배경을 배치해 둠으로 인해서 시각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하얀 눈밭, 붉은 피. 확연한 대조를 이루면서 사람들의 상상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은 요네스뵈 만의 장점이다.
사람들을 처리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나. 오늘도 역시 보스의 명령에 따라서 한 건을 해치웠다. 그런 나에게 새로운 임무를 준다. 자신의 부인을 없애라는 것. 무조건적으로 돈을 받으면 일을 하는 나이지만 그런 명령에는 순응할 수가 없다. 그의 부인을 죽이고 나면 그 다음 타겟은 자신이 될 것이 눈에 그려지기 때문이다.그렇다고 명령을 따르지 않을수도 없다. 이미 세부적인 사항을 다 들어 버렸기 때문이다. 내가 하지 않더라도 보스는 누군가를 시켜서 그 처리를 명령할 것이고 그렇게 되어도 내 목숨은 이미 그의 것이다.
나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나 자신의 안녕을 구할 것인가. 오로지 이 한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일이 계획되어진다. 부인을 조사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나. 정확한 시점, 정확한 장소를 정해야 한다. 나는 과연 이 일을 제대로 행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