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긴 여자
마리아피아 벨라디아노 지음, 윤병언 옮김 / 비채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자신을 보았을 때 못생겼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이 정도면 만족해 하고 생각하시나요? 못생김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형인이 아닌 이상 사람들은 저마다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게 마련입니다. 눈두개, 코하나, 입 하나, 그리고 팔다리 각 두 개씩. 다들 같은 조건을 가지고 생겼는데도 불구하고 그 중에서도 이쁜 것과 못생긴 것으로 나누어지게 마련이죠.

 

과학자들은 그것을 비율의 문제로 보기도 했죠. 다빈치는 황금비율이라는 인체의 균형미를 발견해 내기도 했었고 성형외과의들은 눈코입의 크기를 가지고 비율을 만들어서 몇대몇이면 가장 완벽한 얼굴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각 부분들을 뜯어서 모아놓은 얼굴은 괴물이 되어버리고 마는 묘한 합성을 보기도 했었죠. 이쯤 되면 궁금해집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못생김과 이쁨의 기준은 무엇일지 말이죠.

 

방송용어로 카메라발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분명 못생겨보이는 얼굴이라 할지라도 화면에 나오고 처음에는 뜨악하던 얼굴이라도 계속 보다보면 매력을 찾게 된다는 소리이겠죠. 개인적으로는 박진영이라는 가수를 생각해 봅니다. 처음에 그가 방송에 나왔을땐 저런 얼굴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죠. 오랜 시간이 지난후인 지금은 익숙해져서일까요, 그 얼굴이 그닥 이상해 보이지는 않지 말입니다. 요즘 뜨는 류준열이라는 대세배우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에게 잘생김을 연기하는 배우라 하더군요. 뛰어난 꽃미남은 아니지만 연기하는 것을 보면 그가 잘 생겨 보일때가 있다는 소리겠지요.

 

저마다 사람들이 보는 잘생김과 못생김의 기준은 사회적인 척도에 따라서 다들 비슷한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문화마다 다를수도 있죠. 괌이나 사이판 같은 곳은 여자들이 뚱뚱할수록 미인으로 보고 고산족들은 목이 길어서 가능한 많은 목걸이를 둘러야만 미인으로 보기도 하니까 말이죠. 우리는 지극히 이상하게 보일지라도 말입니다. 즉 기준은 나라마다, 문화마다, 개인마다, 편차가 있다는 것이 정답이겠군요.

 

여기 못생긴 여자가 한 명 있습니다. 아니 여자아이입니다. 얼마나 못생겼는지 생김생김이 어떠한지는 절대 설명해주지 않습니다. 그저 어려서부터 아니 태어나면서부터 못생기게 태어나서 밖에 나가지도 못하게 했고 그 아이를 낳은 엄마는 아무 죄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방에 박혀서 바깥을 나오지 않았죠. 밖을 나오지 않은 것은 둘째치고 자신이 낳은 아이까지도 보지 않았습니다. 아이를 보기가 끔찍했던 걸까요. 아니면 자신이 그렇게 못 생긴 아이를 낳았다는 것이 끔찍해서였을까요.

 

아이는 결국 다른 사람의 손에서 키워지게 됩니다. 분명 엄마와 아빠가 같은 집에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부모가 있고 부모의 사랑을 받으면서 누구 도와주는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온전히 자신의 헬퍼손에서 자란 그 아이. 유치원에 가는 것조차도 막고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조차도 발휘를 하지 못하게 하는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어떻게 될까요. 제대로 사회라는 세상속에서 자라날 수 있을까요? 세상에 나가서 왕따가 되는 것을 걱정해야 할까요 아니면 집에서 나가지 않은 히키코모리를 걱정해야 할까요.

 

생각보다 아이는 밝고 건강하게 자라납니다. 그런 환경 속에서도 말이죠. 그 아이도 자신이 못생겼다는 것을 알고 있겠죠. 그래도 자신과 비슷한 친구를 찾고 학교 생활도 하게 됩니다. 물론 못생겼다는 꼬리표는 계속 따라다니지만요. 이 이야기는 아이가 자라서 지금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아이는 잘 자랐습니다. 자신의 일도 있습니다. 어린 시절 그렇게 친했던 친구도 만났습니다. 결국 못 생긴것은 장애가 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일테지요.

 

장애를 가진 사람도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면서 충분히 잘 살 수 있는 사회입니다. 못생긴 것도 하나의 장애로 꼽아야 한다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기준이라는 것이 명확하게 뚜렷이 없는 못생김은 사람들의 마음속에서만 가지고 있는 기준이 아닐까요.

 

지금 못 생겼다고 좌절하는 분이 있을까요? 자신감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누가 보아도 당당하고 떳떳하게 그것이 자신이 더욱 멋져보일 수 있는 일종의 마법입니다. 또한 자신의 상황에 충실하게 대처하며 자신의 일에서 전문가가 되십시오. 그 누구도 자신을 무시할 수 없을 것 입니다. 잘생김과 못생김은 단지 겉모습이지 실력의 차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