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자와 죽은 자 스토리콜렉터 32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넬레의 책을 많이 읽지는 못했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과 '여름을 삼킨 소녀'. 더군다가 '여름을 삼킨 소녀'는 타우누스 시리즈가 아니고 성장소설 같은 느낌이라 시리즈로는 한권밖에 보지 못한 셈이다. 그러나 그 한 권은 아주 뚜렷이 잘 기억하고 있다. 어디선가 읽었고 기억이 나지 않아  선물로 받은 책을 다시 읽었기 때문이다. 독일문학이다. 정확하게는 독일 스릴러. 처음에는 지명이나 사람 이름들이 눈에 익지 않아 고생을 했다. 그렇지만 그렇게 두번 읽기를 마치고 안드레아스 프란츠 같은 다른 독일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서서히 물들어 갔다.

 

더군다나 이번에는 독일에서 돌아온지 이틀이 지났다. 그리고 독일에서 일주일정도 머무르면서 여기저기 다니다보니 이 책은 그런 면에서는 너무나도 쉽게 읽혀진 편이다. [오버우어젤에 있는 할머니댁으로 쿠키를 만들러 간다] 글을 보면서 나도 거기 있었는데 하는 생각에 반가웠고 (실제로 동생집이 그곳에 있다) '레베수퍼마켓'에서 나오는 장면을 보면서 나도 레베 갔었는데 하고 반가와했다. 독일어로 레베라고 읽지만 그냥 스펠링대로 읽으면 영어로는 다른 발음이 나오게 된다. 레베는 그나마 큰 매장이고 다들 일찍 문을 닫는 그곳에서 밤 12시까지 하는 레베 매장을 일부러 구경 가본 적이 있다. 이렇게 직접 생활하던 곳을 책에서 보니 나도 아는데 하면서 신나는 느낌이랄까. 이래서 사람은 간접적인 경험과 더불어 직접적인 경험도 필요하다는 것인가보다.

 

프란츠의 시리즈에서는 율리아라는 여형사가 나온다면 넬레의 책에서는 피아라는 여형사가 등장한다. 같은 형사이긴 하지만 피아는 율리아보다 조금은 더 능동적이다. 일에 파뭇힌 여자다. 일 때문에 신혼여행 가는 것도 남편 혼자 보내 버린 그런 여자다. 가정보다 일이 더 중요한 그런 여자다. 그럼으로 인해서 독자들은 훨씬 더 박진감 넘치는 이야기를 읽을수 있다. 피아를 통해서 직접 사건에 맞부딪히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확하게 겨냥을 해서 명중시킨 단 한발의 총알. 그 총알로 인해 산책을 하던 할머니 한명이 죽음을 당한다. 경찰이 겨우 피해자의 신원을 파악하고 아직 용의자도 잡지 못한 시점에 또다른 할머니가 같은 방식으로 죽음을 당한다. 경찰은 이제 연쇄살인으로 규정짓고 자신들이 조사를 하는 것보다는 제보를 받기로 결심하고 방송에 이 사건을 알리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증거는 없고 사건은 오리무중이다. 여행을 미룬 피아가 합류해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와중에 이제는 나이가 든 사람이 아닌 이십대의 청년이 같은 방법으로 죽는다. 나이 많은 사람만을 노리는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부고라는 명칭으로 앞선 두건의 사건에 대한 이유가 밝혀지게 된다. 피해자들이 잘못한 것이 아닌 그들의 가족의 잘못으로 인해서 이 사람들을 죽였다는 것이다. 세번재 피살자가 발생하면서 밝혀진 세 사람의 인연은 언뜻 보기에는 '살인마잭의 고백'이라는 책을 생각나게 했다. 비슷한 소재였기 때문이다. 그것은 섣부른 판단이었다. 네번째 피해자가 발생하면서 또 이건 뭐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미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이름들 덕분에 넬레의 이전 작품과는 다르게 훨씬 더 쉽게 읽어내려 갈수 있었다. 죽은 자의 원을 풀어준다는 이유로 산 자를 처벌하는 단 한명의 사람. 그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 여자는 아니라는 전제하에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열심히 발로 뛰는 피아 형사. 그리고 그들의 팀. 피아는 요네스뵈의 해리처럼 단독으로 일하지 않는다. 오히려 '살인의 사계절'에 나오는 말린처럼 팀을 꾸려서 이 팀 전체가 하나의 사건에 매달리는 식이다. 그래서 각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도 색다른 재미를 준다. 사건이 아닌 개인의 모습은 어떠한가를 보는 재미이다. 얇지 않은 이야기가 순식간에 읽힌다. 가독성 하나는 끝내주는 넬레의 이야기이다. 타우누스 시리즈를 이번기회에 읽어봐야겠다. 백설공주 이후로 순서에 맞춰서 차례대로 읽어본다면 일찍 찾아온 이 더위를 식히는데 조금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 더위에 서늘함을 주는 넬레의 책이 반갑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