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록을 보다 1 -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조선사 여행, 태조~중종 ㅣ 조선왕조실록을 보다 1
박찬영 지음 / 리베르스쿨 / 201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처럼 국사를 정규과목으로 하지않는 시대에서는 역사를 제대로 알기란 어려운 일일 것이다. 자신이 관심이 있어서 찾아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아니면 초등학교 시절 사회과목 속에 들어있는 국사를 배우지 않는다면 아마 제대로 알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한 민족에게 있어서 역사란 가장 즁요한 고유의 유산이 아닐까. 그 역사가 없었다면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선조들의 업적을 부인하는 것이 될 테니까 말이다. 학생시절 국사를 곰곰 생각해보면 기억나는 것이 별로 없기는 할지라도 그래도 그때 배운 지식들을 바탕으로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듯 하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배우기 시작했을 것이나 그 이전은 기억이 없고 삼국시대는 각 나라별로 필요한 요점들만 외웠고 그리고 고려와 조선시대를 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무래도 조선시대가 많이 언급되는 이유는 가장 현재와 가깝고 또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이 책에서는 조선의 시작인 이성계 즉 태조를 다루면서도 딱 잘라서 거기부터 시작이 아닌 그 이전 고려시대 때로부터 넘어가서 설명을 하고 있다. 그 이전에도 이성계는 살았을 것이고 그렇다면 그가 왜 새로운 나라의 탄생을 만들게 되었는가가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그럼으로 그 이전 시대부터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현직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아니다. 그렇다고 그 분야에 있어서 전공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언론학 쪽에서 있으셨던 분인데 왜 이런 책을 내게 되었을까. 그것은 아마도 머릿말에서 알 수 있다.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겉핡기였다고 느낀 것. 자신이 답사를 하면서 자신이 알고 싶었던 것을 정리하면서 이렇게 재미난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쉽고 재미나개 알려주자는 생각이 컸을 것이다. 그 덕분에 우리는 지금 이렇게 좋은 책을 볼 수 있게 되었으니 저자에게 고마워 하지 않을수가 없다. 자칫 잘못하면 단지 암기적인 과목으로 재미라고는 배제된 채 외워야 되는 지루한 학문으로 생각하기 쉬운 역사를 일목요연하면서도 이렇게 재마나게 만들어 주었으니 말이다.
책은 전체가 모두 누군가에게 설명하는 어투를 띄고 있다. '~했다'가 아닌 '~했습니다', '~했었지요'라는 어미를 선택해서 훨씬 더 친근감이 있게 느껴지게 만든 것이다. 그대로 읽다보면 저자가 직접 옆에서 설명해주는 느낌으로 읽을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들을 배열함으로 인해서 시각적인 효과를 배가시켜 준다. 글로만 읽는 것과 또 눈으로 그 사실을 직접 확인하면서 읽는 것과는 천지차이가 아닐수 없다. 한국의 곳곳에 흩어져 있는 모든 문화재들이나 각종 자료들을 직접 본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것이 안되니 이렇게 간적접인 겅험도 안보는 것 보다는 훨씬 더 좋은 것이다. 지난번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해주었던 문화재 특집에서 보았던 각종 보물들이 나올때면 이미 알고 있어서 더욱 반갑기마저 하다. 이렇게 여러번 본다면 모든 것들에 대해서 조금 더 한발 다가가는 마음으로 더 잘 알게 되지 않을까.
'태정태세문단세'로만 외웠지 실제로 그 왕들이 살았던 곳이 어디였는지 그리고 그들의 무덤이 지금 어디 있는지는 낯설다. 어렸을 때 부모님이 여기저기 데리고 다니지 않으셨다면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모를 뻔했다. 사진을 보다보니 의외로 많은 왕과 왕비의 무덤들이 수도권에 모여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서울이 도시의 중심지였기 때문이 그러할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주말마다 가까운 능에 한번 가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듯 하다. 그냥 모르고 지나갔을지도 모르고 언젠가 한번쯤은들러 봤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은 또 전혀 다른 법, 이렇게 책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나서 그 곳을 다시 찾아보고 책의 사진과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난 놀이임에 틀림없다.
유독 드라마나 영화 그리고 소설에 많이 쓰여졌던 조선 전기, 태조부터 중종까지의 일이 한 권에 오롯이 담겨져 있다. 누구나 다 잘고 있는 태조 이성계의 조선건립부터 차례대로 지나가면서 세종이 어떻게 한글을 만들었나를 넘어 그 이후 중종까지, 그 이전에 단종의 이야기를 하면서 비극적인 사육신과 생육신 이야기도 빼놓지 않는다. 그냥그냥 알고 있었던 단편적인 지식들 그리고 각종 소설과 영화를 통해서 대충 짜깁기로 들었던 지식들과 비화들 그리고 픽션과 팩트가 혼합된 내 비루한 상식들까지 모든 것을 한번에 정리해 줄 결정적인 기회이다. 또한 이 책의 가장 좋은 점은 전혀 지루하지 않다는 것이다. 아니 오히려 책을 놓을수가 없게 만든다. 무슨 장르소설도 아닌데 이 왕까지만 봐야지 하다보면 어느샌가 더 읽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실제로 있었던 일을 이렇게 재미나게 쓰는 것도 보통 재주는 넘을 것 같다. 연산군을 지나 중종의 이야기를 하면서 조광조의 개혁을 마지막으로 일단락 지어지는 이 책은 그 다음권으로 달려가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