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의 계절 - 귀주대첩, 속이는 자들의 얼굴
차무진 지음 / 요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으로는 전혀 짐작할 수 없는 내용의 이야기이겠지만 이 또한 요즘 유행한다는 드라마의 영향을 탄 강감찬 장군의 이야기다. 지금까지 나왔던 아니 내가 읽었던 여러 강감찬 이야기들과는 그 결을 살짝 달리 하고는 있으나 마지막 결론은 다들 알고 있는 그 내용이다. 사실 마지막 엔딩의 내용은 강감찬 앤솔러지인 [우주전함 강감찬]이라는 책에서 조동신 작가의 글인 <깃발이 북쪽을 가리킬 때>와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아마도 강감찬 장군의 여러 이야기 중에서 가장 극적인 묘사를 할 수 있는 그런 소재라서 그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두 이야기 모두 바람의 방향이 아주 중요한 키포인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누구나 알다시피 바람이라는 것 자체가 사람이 임의로 조종을 할 수 없는 것이기에 신 또한 고려라는 나라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내가 읽어왔던 강감찬 이야기와 아주 많이 다른 점도 내포하고 있다. 가장 주된 것으로는 설죽화라는 캐릭터다. 동명의 제목의 소설을 읽은 적이 있다. 그 책에서는 강감찬 장군을 도운 고려의 위대한 여장수라는 타이틀이 붙어도 아깝지 않은 정도의 용맹함을 드러내는 캐릭터였는데 여기서는 어째 상당한 차이를 두고 있다. 일단 본문에서는 죽화는 매화라는 동생과 함께 이동을 한다. 죽화는 미래를 보는 능력이 있지만 살인본능을 가지고 있는 동생을 둔 터라 내내 노심초사하며 언니인 자신이 지켜줘야 하는 책임감을 느낀다. 그리고 그 캐릭터에는 후반부 가장 큰 비극적인 반전이 숨어있다.

소설이라는 분야에서 역사를 그대로 이용할 필요는 전혀 없다. 그것은 작가의 말에서도 밝히고 있다. 소설은 기록을 비팅으로 쓰이지 않았다고 말이다. 맞는 말이다. 누구도 설죽화를 직접 본 사람은 없으니 그녀의 캐릭터의 변주는 자유로울 수도 있을 것이다. 나처럼 같은 캐릭터가 다른 이야기에서 전혀 다르게 묘사가 된 책을 읽은 사람이나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약간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겠지만 그 나름대로의 비교점을 찾아서 읽는다면 더욱 흥미로울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이야기의 가장 큰 장점은 미스터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버려진 땅에서 일어난 살해사건이다. 고려군의 핵심 장교가 잔인하게 살해당했던 것이다. 그것도 여섯 명이나 한꺼번에 죽었다. 그들을 죽인 사람은 누구인지 아무도 모른다. 사원에서 일어난 이 사건은 이것이 종교적인 행위와 연관성이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도 만든다. 강감찬은 이 사건의 진실을 알아낼 것을 사냥꾼 각치와 죽화에게 부탁한다. 그들은 어디서 범인의 진상을 알아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