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의 섬
히가시가와 도쿠야 지음, 김은모 옮김 / 북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흠. 저택섬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쿠야스러움이 살아있으면서도 정통 추리 미스터리의 형식을 그대로 따라가는 독특한 형태의 이런 미스터리는 진정 도쿠야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으니 말이다. 분명 사건이 벌어지고 -그것도 살인사건이다- 폭풍으로 인해서 갇혀 버린 섬이라는 공간은 밀실 미스터리를 연상케 하며 탐정이 등장을 하니 추리 미스터리의 조건은 완벽하게 갖춘 셈이다.

여기서 누가 범인이게?만 찾으면 끝나는 상황이지만 주인공들의 투덜거림으로 인해서 그 긴장감은 다소 완화가 된다.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코믹한 요소를 섞어 놓아서-간혹 슬랩스틱도 선 보인다- 중얼중얼 혼잣말을 하는 것은 예사이며 탐정과 변호사 서로 간에 비하를 하거나 자아 붕괴 현상이 일어나는 것도 다반사다. 이런 점들이 추리 미스터리의 높은 장벽을 살짝 낮춰주는 결과를 불러온다. 그렇다고 해서 트릭이 느슨하거나 말도 안되는 상황이 벌어지거나 개연성이 없거나 하지는 않는다.

굉장히 독특한 형태의 섬을 배경으로 삼고 그 속에 또 실제로 존재할 것같으면서도 꼭 돌아아야만 하는 회전계단을 만들어 놓는 등 일종의 시각적인 트릭도 심어 놓아서 독자의 눈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효과도 일으키고 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나는 이번에도 범인을 잡지 못했다. 에먼 스님만 잡고 의심하고 물고 뜯었다. 범인처럼 보이지 않은 사람이 바로 범인이다라는 말도 안되는 나만의 직감인 것인데 단 십 퍼센틔의 가능성도 없다는 것이 또 한번 입증되었다.

프롤로그에서는 중학생 세 명이 등장을 한다. 고기잡기로 돈을 벌어보고자 한밤중에 배를 타고 나선 참이다. 그들은 그야말로 만선의 꿈을 이뤘다. 그래도 조금이라도더 잡아보고 하던 참이었는데 어디선가 갑자기 무엇인가가 날아왔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날아온 듯 보였으나 물에서 튀어 나와서 그야말로 하늘로 솟아 올랐다. 그리고 다시 떨어졌다. 그들에게 닥친 그 상황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그리고 그 존재는 무엇이었을까.

세토내해의 외딴 섬. 기묘한 저택. 접근하는 태풍. 그리고 살인사건.

159p

이야기는 23년이 넘어 이어진다. 같은 섬이 배경이 된다. 출판사 오너의 유언장을 집행하기 위해서 가족들이 모인 것이다. 오너의 부인과 자녀들 세 명. 큰 딸의 남편과 딸. 오너의 누나와 행방을 알 수 없었던 조카까지 다 모였다. 조카를 찾아오는 역할을 맡은 탐정과 유언장을 집행할 변호사 그리고 제사를 지낼 스님 정도가 외부인이다. 그 외 외부인으로는 별장의 관리를 맡은 부부가 있다. 꽤 많은 인원이 등장을 하고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가장 먼저 고전의 가장 최고봉인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여기서 연속적인 살인은 벌어지지 않는다. 다만 프롤로그에서 등장을 했었던 사건이 마지막에 이 사건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제목답게 각종 속임수가 난무한다. 가장 간단한 속임수인 거짓말은 당연한 조건이 될 것이고 사람의 눈을 속이려는 트릭도 물론 존재한다. 그런 속임수는 독자가 예상치 못한 것이기에 그런 면에 보였을 때 조금 당황스럽기도 하다. 하지만 시간 상으로 가능하지 않았던 이동의 비밀을 밝히려면 이런 점까지 캐치를 해냈어야 하는 것이 당연했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이야기는 도쿠야스러움이 가득 묻어난다. 나처럼 그의 시니컬한 유머 감각을 좋아하는 사람이었다면 정통 추리에 가미된 그런 점이 반갑지 않을 수가 없다. 도쿠야 장르를 새로 만들면 어떨까 하는 즐거움을 주는 그런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