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밀리미터의 싸움 - 세계적 신경외과 의사가 전하는 삶과 죽음의 경계
페터 바이코치 지음, 배진아 옮김, 정연구 감수 / 흐름출판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적인 신경외과 전문의인 저자가 자신의 환자들을 만나고 수술을 하면서 있었던 일들을 그려낸 이야기다. 처음에는 뇌와 관련된 수술만 있는 줄 알았더니 그 외에도 신경이 관련된 곳이면 척추 등 다른 곳의 수술도 있었고 내시경을 통한 수술도 나왔다. 그야말로 신경외과적 케이스는 다양하게 다 보는 셈이다.

신경외과의 특성상 어느날 갑자기 쓰러져서 오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뇌졸중이나 뇌출혈 같은 질환이다. 하지만 종양이 있어도 조금 불편해도 낫겠지라는 생각으로 무시하고 있다가 병이 커진 상태에서 전원을 오는 경우도 있다. 아프면 바로바로 병원을 가야 하는 것인데 인간이라는 존재는 원래 겁이 많고 변화를 싫어하는지라 그렇게 쉽게 가지질 않는다. 혹시라도 안 좋을 소리를 들을가 하는 걱정도 있고.

특히 뇌부분의 수술 같은 경우엔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조금이라도 잘못되면 전체적인 인간으로써 할 수 있는 모든 행위들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서 더욱 조심이 필요하다. 하나하나 숨죽이며 읽게 된다. 그와 같은 수술실에서 있는 양 그가 하는 모든 동작들을 따라간다. 수술이 마침내 성공적으로 끝이 나면 기뻐하고 중환자실로 가 있는 경우 괜찮다는 소식이 들릴 때까지 집에 가서도 긴장을 놓지못하는 저자처럼 같이 긴장을 하고 있는다.

일반적으로 마취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일텐데 각성 상태에서 수술을 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어서 새로왔다. 그런 결정을 하기까지 얼마나 환자가 힘들었을까 걱정이 많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종양을 다 떼내고 싶지만 그렇게 했을 경우 자칫 후유증이 남아 버리면 남은 생을 살기가 버거워지니까 그런 경우 딜레마에 빠지기도 한다. 또한 환자가 아는 사람일 경우는 어떻게 할 것인가. 좋지 않은 소식을 어떻게 전할 것인가. 의사의 할 일은 단순히 진단을 하고 수술을 하고 치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외에 환자나 보호자의 마음을 살피는 것 그것까지도 포함되어야 할 것만 같다.

본문 에서는 뇌수술을 낚시에 비유해 두었다. 너무 느슨하게 있어도 고기는 도망가버리고 너무 확 잡아당겨도 줄이 끊어질 수가 있다. 당겼다 놓았다 하는 그 모든 힘조절이 필요한 순간이다. 거기에 수술실 안의 일들을 배를 젓는 것으로 비유를 하기도 했다. 다같이 힘을 합쳐서 저어야 하는 일처럼 손발이 착착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의학 드라마에서도 그런 인물들이 있다. 수술실에서 언제나 같은 자리에 있는 수술전문간호사 같은 인물들 말이다. 눈빛만 봐도 알 수 있다는 것이 바로 그런 것 아니었을까.

오늘도 내일도 어디선가 환자들은 생길 것이고 그들을 치료하기 위한 손길은 존재할 것이다. 의료수가가 나오지 않는 과의 의사들이 줄어들고 있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흉부외과나 신경외과 처럼 힘들고 어렵지만 돈이 되지 않는 그런 과들을 선택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피부과나 성형외과 같은 쪽에 지원을 조금 덜하고 응급의학과를 비롯한 이런 과들에게 조금 더 지원을 해준다면 그들에게 더 돈이 많이 돌아가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면 돈을 보고서라도 선택하는 의사들이 생기지 않을까. 물론 돈이 전부는 아니겠지만 그래도 지금의 환경으로 본다면 한국사람들은 나중에 외과 의사를 찾아서 전세계를 떠돌게 될지도 모른다. 늘 애써주시는 의사들에게 감사와 존경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