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에서 길을 잃다
엘리자베스 톰슨 지음, 김영옥 옮김 / 하빌리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여행 중이다. 시골에서 친구와 함께 런던으로 와서 전쟁 속에서도 살아 남은 서점을 운영하는 이야기로 세계 대전 시대의 런던을 활보했는가 하면(런던의 마지막 서점) 이번에는 바로 옆동네인 파리다. 미국인인 해나는 제인 오스틴을 좋아하고 문학작품을 사랑한다. 지금 그녀는 영국에서 제인 오스틴 작품의 배경이 된 곳들을 찾아 다니는 투어를 기획하고 진행중이다. 그런 그녀에게 반갑지 않은 손님이 찾아온다. 엄마다.

엄마와 나 사이에 대서양이 없다는 건 우리의 갈등을 막아 줄 완충제가 없다는 의미였다.

32p

엄마가 있지만 할머니가 키운 해나는 엄마와의 관계가 좋지 못하다. 하지만 그 엄마가 지금 바로 여기 있다. 엄마는 문서를 가지고 왔다. 할머니가 남긴 유산 중에 파리의 아파트가 있단다. 엄마와 해나가 공동소유한. 그 아파트를 가보자고 온 것이다. 아무도 살지 않았을 아니 누군가가 살고 있다 한들 아무도 모르는 아파트. 해나는 처음에는 내키지 않았지만 엄마와의 동행을 허락한다. 그렇게 그들은 런던에서 파리로 이동한다.

낯선 장소로의 모험은 언제나 신난다. 그것이 현실 속이라면 여러가지 제약이나 조건이나 상황들로 인해서 힘이 들고 고난한 일이 될 수도 있겠지만 상상 속에서의 여행은 그런 어려움을 제외했기에 온전히 모험에 빠져들 수가 있다. 해나와 엄마가 집을 찾아 가고 그곳에서 할머니의 흔적을 발견하고 유물과 같은 물건을 찾고 일기를 본다. 일기 속에서는 무슨 일이 적혀 있을까.

스콧, 어니스트. 피카소. 당대 유명한 작가들과 화가들이 한 살롱 안에서 모임을 가지고 그들과 친구과 된다라는 상상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것일까. 할머니의 일기를 본 해나는 할머니가 그들과 함께 어울렸다는 것이, 그들을 이름으로 불렀다는 것이 믿기질 않는다. 그 일기로 인해서 그녀의 인생은 또 한번 바뀌게 된다. 기록의 힘이랄까.

할머니의 일기와 지금 해나와 엄마의 상황을 교차 편집해 두어서 그때 당시의 상황을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이 상황을 가지고 현제에 적용한 해나의 아이디어가 놀랍게 느껴진다. 내게 파리는 스위스로 가기 전 하루밤 하루 낮을 거쳐가는 곳이었다. 늦은 밤 도착한 호텔은 좁았고 그 좁은 곳에 이층 침대가 있었고 문턱이 높은 화장실이 있어서 첫인상이 썩 좋게 남은 편은 아니었다. 에펠탑이나 루브르나 달팽이 요리도 그 첫인상을 이겨내지 못하고 파리는 다시 안 와도 되겠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제는 그 생각이 바뀌었다. 해나가 운영하는 하트 투 하트 여행사에 들러서 그녀가 가이드 하는 그 프로그램에 참여해보고 싶다. 누가 이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지 않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