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을 삼킨 여자 ㅣ 케이 미스터리 k_mystery
김재희 지음 / 몽실북스 / 2022년 3월
평점 :
누군가는 그랬다. 좀 약하지 않느냐고. 줄곧 강하고 센 작품들만 읽어온 사람이라면 그런 이야기가 충분히 나올 법도 하다고 느껴진다. 작가의 작풍이 바뀌었다. [경성 탐정 이상]으로 한국 장르소설계에 한 획을 확실히 그은 작가는 [서점 탐정 유동인]을 계기로 그 느낌이 바뀌었다. 조금은 트렌디해지면서 조금은 가볍게 그러면서도 추리적인 느낌은 잃지 않고 장르소설 매니아들만 읽는 것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이런 장르소설을 읽을 수 있도록 조금 그 경계선을 내린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작가의 팬이라면 그런 바뀐 점까지도 좋아해줄 수 있지 않을까.
[서점 탐정 유동인]에서는 사건과 더불어 강아람과 유동인의 로맨스적인 관계가 부각되었다. [꽃을 삼킨 여자]에서는 그 결이 다르다. 분명 사건이 일어나고 범인을 찾아가는 것은 맞지만 픽업아티스트라는 새로운 직업군을 부상시킴으로 사회적인 이슈를 숨겨 놓았다. 거기에 젠더 이슈를 더해서 그런 면을 더 확실하게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사실 새로운 직업군이라고 말을 했지만 단어만 바뀌었을뿐 기존에 존재하던 로맨스 사기와도 일맥상통하는 단어다.
두 달 벌어서 일 년을 산다는 그녀 희연. 자신의 직접 일을 해서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 남자들의 마음을 이용한다. 자신의 몸을 보여주고 자신에게 마음을 주는 남자들의 마음을 이용해서 그들에게 돈을 빌린다. 어떻게 보면 왜 저렇게 사나 하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지만 그녀가 살아온 배경을 보면 배운 것이 그것뿐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할 것이다. 그녀에게 있어서는 그것이 일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직업이다.
범인을 잡아야 하는 형사들의 캐미는 두드러지지 않는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오히려 젠더 이슈가 더 부각된다. 서선익과 강아람, 감건호와 여현정은 2대 2로 나뉘어서 그들은 남자와 여자 여자와 남자에 관해서 서로 자신들의 주장을 자신들의 의견을 자신들의 생각을 관철시키려고 한다. 어떻게 보면 페미니스트들이나 페미니즘적인 사상을 가진 사람이 분명 딴지를 걸 법도 한 그런 이야기다. 왜 여자를 저런 직업군으로 설정했냐부터 여자라고 모두 저런 것은 아니다까지 꼬투리를 잡으려면 수 십가지도 더 잡을 수 있는 그런 이야기다. 하지만 작가의 말을 보면 그 모든 것이 다 이해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이슈를 부각시킬 수 밖에 없게 된 이유 말이다.
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서 사기의 형태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로맨스 스캠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나 또한 그런 프로포즈를 받아 본 적 있다. 그러니 소설 속의 이 이야기가 단지 픽션으로 치부해 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어디선가 누군가는 또 이런 사람을 살아가고 있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 당신은 이런 사람에게 걸려 들지 말라고 경고하고 싶은 것이 전부는 아니다. 단지 그 삶이 이해가 되기에 설희연의 인생이 불행했음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새로운 사람을 살기 위해 첫발을 내디딘 그녀가 부디 성공하기를 그리고 진정한 사랑을 만나기를 바라고 또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