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독자 시점 Part 1 06 전지적 독자 시점 1
싱숑 지음 / 비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님 진정으로 존경합니다. 어케 하면 소인국이라는 그런 설정을 여기에 와서 등장시킬 수 있으셨던겁니까?


외계인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 즉 인간이라는 종이 살고 있는 지구를 벗어난 다른 행성에 있는 어떠한 종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학 시간에 배운 것을 떠올려보자면 우주에는 태양이 있고 그것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행성들이 존재한다고 했다. 태양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수금지화목토천해라고 배웠다. 그 행성들에도 어떤 존재가 살고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외계인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람 인자를 써서 사람이라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지만 무언가 유기적인 생명체가 살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누구라도 한번 쯤은 해보지 않았을까. 지금은 비록 영화나 소설 속에서만 존재한다고 해도 말이다.


만약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곳이 아닌 다른 세계가 있고 그 속에 살고 있는 존재들이 전부 우리보다 훨씬 더 작다면 우리가 그곳으로 이동했을 때 그들에게는 우리가 재앙적인 존재가 아닐까. 이 설정을 보자마자 생각나는 것은 바로 [걸리버 여행기]였다. 걸리버가 소인국에 도착해서 그들이 걸리버를 적으로 생각했다는 그런 이야기 말이다. 물론 내가 알고 있는 걸리버 여행기는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말이다. 소인국이 있으면 대인국이 없으리라는 것도 없는 법 걸리버 여행기에서는 대인국으로 설정을 바꾼 이야기도 있었다. 

 

김독자를 비롯한 일행은 크리스털을 통해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그곳에서 그들에게 주어진 메인 시나리오는 행성 피스 랜드의 지배종을 멸절하는 것이다. 물론 피스 랜드의 지배종은 소인들이 평화롭게 살던 지역이었고 시나리오에 참가한 나라는 일본과 한국 단 두 나라이다. 지배종이 소인이다보니 그들을 멸절하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일것 같다. 하지만 김독자에게는 다르다. 그들도 크기만 작을 뿐 엄연히 사람과 같은 존재들이다. 그렇다보니 그는 그들을 마구 죽일 수가 없는 것이다. 성좌들은 다르다. 그들은 돈을 내고 후원을 하고 잔인한 것을 보기 즐겨하는 존재들이다. 자신들이 후원하는 화신들이 화끈한 싸움을 보여주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니 그들이 공격을 주저하고 시나리오가 평화를 협정하는 방향으로 갈 때 그들은 재미 없어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또 조건들이 추가된다. 여기 김독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메인 시나리오가 처지면 그것을 대신하는 서브 시나리오가 등장하기 마련이다. 


물과 기름 같던 김독자와 유중혁과의 관계는 협력하는 관계로 바뀌었다. 시간이 흐르고 미션이 진행되면서 그들은 서로를 도와주는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해야만 서울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하나의 시나리오 가 끝나면 그것으로 미션이 끝이 아니다. 계속되는 시나리오가 그들 앞에 존재하고 그들은 힘을 합해서 또는 개인으로 그들에게 주어진 퀘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멸살법의 작가는 자신이 만든 '결말'에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었을까? 297p

어떻게 하다 이렇게 되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단지 김독자가 그 소설을 읽었을 뿐이고 어느날 갑자기 그 이야기는 시작되었을 뿐이다. 김독자는 궁금해진다. 자신이 알고 있는 그 결말이 과연 작가가 만족한 결말인지 하고 말이다. 단지 눈으로 읽는 텍스트와는 다르게 그것이 현실이 되었을 때는 끔찍한 재앙이 따라오니 말이다. 그 누구도 이 소설이 현실화되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바라는 바는 단 하나다. 이 모든 것이 김독자가 지하철에서 퇴근하다 꾼 '꿈'이다라는 결말만은 아니길. 그렇게 된다면 엔딩이 너무 허무해서 이때까지 읽어온 것이 너무 아까울 것 같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