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로 보는 단테의 신곡 (양장) 명화로 보는 시리즈
단테 알리기에리 지음, 이선종 편역 / 미래타임즈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옥>

제1막 1장

어두운 숲

(표범, 사자, 늑대가 나타난다.)

단테 : 제발 절 좀 구해 주십시오! 당신은 사람인가요?

베르길리우스 : 지금은 인간이 아니지만 전에는 인간이었다네. 어찌하여 지옥에 가려하는가.

단테 : 슬픈 영혼들을 만나길 원합니다.

베르길리우스 : 내가 자네를 영원한 곳으로 인도하겠네. 나중에는 베아트리체에게 자네를 맡기고 떠날 것이네.


제1막 2장

아케론 강 가

단테 : 스승님, 저들은 누구입니까.

베르길리우스 : 하느님을 분노케 하여 죽음을 맞이한 자들. 구원 받을 희망을 잃고 단념한 사람들이네.


<연옥>

제2막 2장

카셀라 :자네는 단테가 아닌가.

(안으려 하지만 허공을 가른다)

카셀라 : 어찌 여기에 왔는가.

단테 : 나의 친구여. 나는 천국으로 향하는 영혼들 틈에 끼여 긴 여행을 하고 있다네. 나를 위해 노래를 블러 주지 않겠는가.


<천국>

제3막 1장

베아트리체 : (부드러운 미소를 머금으며 단테를 바라본다.)

이곳은 당신의 원래 고향이었던 천국이에요.

단테 : 하지만 내가 저 불꽃 위를 어찌 올라가겠소.

베아트리체 : 하느님 원리에 따른 것일때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둘은 달을 향해 비상한다.)


그토록 유명한 단테의 신곡이지만 제대로 읽을 기회가 단 한번도 없었다. 이제는 누구에게나 말할 수 있겠다. 나는 단테의 신곡을 읽었다고 말이다. 지옥, 연옥 그리고 천국 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각 장의 앞부분을 희곡처럼 만들어 보았다. 많은 등장인물들과 이야기들이 다양하게 있어서 쉴새없이 몰아치는 느낌을 받는다.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책은 명화와 함께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어서 그림책을 읽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읽는 것이 더없이 재미나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특히 지옥편에 가장 많은 그림이 들어가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가장 사실적인 묘사 때문이 아닐까 한다. 자극적이면서도 잔인한 장면들도 많은데 그것이 예술가들의 혼을 자극시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특히 신곡을 읽고 감명을 받은 보테칠리가 그렸다는 <지옥의 지도>라는 작품은 영화 <인페르노>에서도 본 적 있어서 더욱 반갑게 느껴진다. 신곡의 같은 부분을 그리더라도 예술가들이 느끼는 것이나 화풍이 다르기에 같은 장면 다른 그림을 비교하는 재미도 꽤 즐겁다. 귀스타브 도레와 윌리엄 블레이크의 작품들이 특히 많은데 그것은 그가 이 신곡이라는 작품을 읽고 얼마나 큰 감동을 받았는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요소라 할 있겠다. 


버니언의 [천로역정]을 읽는 기분과도 비슷하다. 그것은 기독교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 책은 카톨릭에 더 가까운 편이다. 그때 당시 이탈리아를 지배하고 있었던 종교였고 단테 또한 종교를 가졌기에 이런 배경을 가진 작품이 나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지극히 사실적이고 자세하게 묘사되었던 지옥편와는 다르게 천국편에서는 조금 철학적인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천국이라는 것 자체가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그 이상의 무엇이기에 그런 생각이 든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그곳에 있는 인물들을 만나면서 주인공인 단테가 하는 말들이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들이 나오게 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이탈리아의 피렌체 출신의 작가 단테다. 그곳에 가 본 적이 있다. 그리고 그 곳에 갔다 온 것이 다행이다 싶은 생각이 든다. 230쪽에 등장하는 <천국의 문>이라는 작품을 봤을 때 가장 기뻤다. 그 작품을 직접 본 적이 있다. 피렌체에서 말이다. 사진을 모아둔 클라우드를 뒤져본다. 역시 있다. 내가 직접 찍은. 그때는 단테의 신곡을 몰랐고 지금은 그 작품을 읽고 난 뒤라서 이 작품이 새롭게 보인다. 이 작품은 보았지만 단테의 생가는 방문하지 못했다. 그의 박물관 또한 지나쳤을지 몰라도 사진이나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 그러니 이탈리아의 피렌체에 다시 갈 이유가 생긴 것이다. 단테의 신곡이라는 작품을 보고 나니 그곳이 색다르게 보일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서다.


유명하다. 하지만 그 유명세 때문에 아직 읽어보지 못한 사람이 있다면 꼭 이 책을 권유하고 싶다. 고전이란 당연히 어렵기만 할 것이라는 생각을 타파하기에 가장 적합한 책이니 말이다. 머릿글에서 편역자는 처음으로 이 책을 접한 독자들이 깨달음을 얻었다면 그것으로 감사히 여기겠다고 했다. 나는 오히려 이런 책을 만들어준 편역자님께 더더욱 감사함을 느낀다. 덕분에 단테의 신곡을 드디어 읽어볼 수 있었으니 말이다. 나는 고전은 어려워서 싫다거나 아직 단테의 신곡이 무엇인지 모른다거나 궁금은 하지만 섣불리 도전하기 힘들다거나 하는 사람을 위해 적극 추천하겠다. 바로 이 책이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