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조의 아들인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다. 이 사실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어찌하여 그가 죽었는지 궐 안에서 뒤주는 어디서 났는지 그때 당시 상황은 어떠했는지 그가 죽은 후 그 아들은 어찌 되었는지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혜경궁 홍씨라는 이름도 너무 많이 들었지만 한중록의 저자라고만 알고 있을 뿐 팩션 속에서 나오는 그녀의 이름은 그저 스쳐 지나가기만 했었다. 그게 바로 이 책을 읽게 한 이유였다. 그녀가 지은 이 한중록이라는 책을 읽음으로 그때 당시의 상황을 조금이라도 더 알고자 함이다. 물론 이 역시도 사료와는 다르기에 분명 이 모든 것이 다 사실만은 아닐수도 있다. 하지만 직접 그 자리에 있었던 그녀의 눈을 통해서 그녀의 손을 통해서 써 내려간 이 작품을 읽으면 조금은 더 생생한 현장의 기운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기대감으로 읽는다.



나와 선왕이 경모궁의 처자로 망극한 변을 당하고도 능히 죽지를 못하고 목숨을 보전한 것이 애통함은 나 자신의 애통이오, 의리는 나 자신의 의리로써 오늘까지 온 일이니 이 말을 주상이 자세하게 알게끔 하려는 것이다. (71p)


총 6권으로 구성된 이야기는 한 여자의 인생을 따라간다. 그녀가 어떻게 세자빈으로 간택이 되었는지부터 풀어가는 이야기는 별일 없이 평온했던 그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준다. 또한 혜경궁 홍씨가 영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던 며느리라는 것도 확인해 주는 부분이다. 그런 점은 책 전체를 통해서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랬기 때문에 자신의 아들을 죽이면서도 며느리였던 그녀에게는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았고 그랬기에 그녀의 아들도 세자로 무사히 왕위를 이어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어찌하여 마음이 상하느냐?"

"부왕께서 사랑하지 않으시기에 서럽고, 꾸중하시기에 무서워 화가 되어 그리합니다." (134p)


2장에서는 사건이 일어나기 전 부자 간의 불화가 아주 심했음을 보여준다. 이 글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조금은 유약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아니었을까. 한다. 만약 그가 세자가 아니라 그냥 일반 평민이었다면 오히려 행복한 세월을 보내면서 오래도록 살지 않았을까. 부왕에게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지만 그는 그것이 부담스러웠을 수도 있다. 그런 부담이 아버지를 가까이 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멀리 하게 만들었고 무서워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런 갈등이 정신적인 병을 일으키게 만든 촉발제가 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3권에서는 드디어 사도세자의 죽음이 그려진다. 몰랐다. 영조가 시킨 것이라고는 알고 있었지만 직접 뒤주를 가져오라고 하고 그랬는지는 알지 못했다. 하기야 아비 입장에서 본다면 그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한 나라를 이어받아야 하는 세자가 미쳐서 날뛰는데 그냥 두자니 그렇고 그렇다고 물려 주자니 그렇고. 그래서 생각한 방법일 지도 모른다. 차라리 폐위를 시켰으면 어땠을까. 그리고 자신의 눈에서 안 보이는 곳에 멀리 보내버렸으면 부자간에 이런 비극은 생겨나지 않았을가. 누군들 세자로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났겠느냐마는 참 안타까운 인생이었다.



하지만 경모군의 병환이 어쩔 도리가 없으시고 영조의 처분은 부득이 하신 일이었다. 뒤주는 영조께서 스스로 생각하신 것이요, 나나 선왕이나 그런 고통은 스스로의 고통이고 의리는 스스로의 의리로 알았다. (201p)


4권과 5권에서는 혜경궁 홍씨의 친정에 대해서 그리고 있으며 마지막 6권에서는 자신의 인생을 정리하며 자신의 아들인 정조와 손자인 순조에 관한 이야기가 까지 알차게 담아내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그녀가 궁에서 오랫동안 살았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녀가 일찍 죽었다면 이런 대 기록 또한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한중록이 남아 있는 것도 후손인 우리에게는 아주 큰 복이라 할 수 있겠다. 이렇게 그 당시의 기록을 볼 수 있으니 말이다. 또한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친정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특히 홍국영에 관한 이야기도 하고 있다. 이 역시도 역사 시간에 많이 들었던 이름이기는 해도 도무지 머리속에 정리되지 않는 그런 사람이었고 그 당시의 일들이었는데 한중록을 통해서 확실히 더 알게 된다. 사람을 역적으로 몰아 죽이고 자신의 이를 후궁으로 들이고 누이의 양자로 동궁을 만들고 음모를 꾸미고 중전에 꾀를 부리는 등 그가 얼마나 궐 내에서 자신의 부귀 영화를 꿈꿨는지 자신의 자리를 위해서 어떤 노력을 했는지 말이다. 자신들끼리 모여있는 공간에서는 언제나 말이 돌기 마련이다. 누구 하나 이간질 하기 딱 좋은 환경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아무리 듣지 않으려 해도 반복해서 듣는다면 진짜 그런가 하고 의심도 해보게 된다. 비극은 그런 곳에서부터 시작되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