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는 바라지 않습니다
아시자와 요 지음, 김은모 옮김 / 검은숲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작가의 작품이 마음에 들거나 약간 궁금하거나 하면 그 작가의 다음 작품이 나오기를 기다리게 된다. 그 작품을 읽어보고 확신이 들면 그 작가는 관심 작가가 된다. 나만의 애정하는 작가가 되는 것이다. 그렇게 팬심을 꾸준히 유지하게 만드는 작가들이 있다. 작가의 이름만으로 확신을 가지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약간의 궁금증을 품게 하는 작가 그게 바로 아시자와 요가 될 것 같다. 내 경우에는.


죄의 여백과 아닌 댄 굴뚝에 연기를 통해서 어떤 작풍의 글을 쓰는 작가인지는 이미 인지해 두었다. 잘 읽혔고 재미도 있었으며 남음이 있는 그런 글이었다. 무언가 찝찝함을 남기지 않은 깔끔함이랄까. 이 작가의 다른 글은 어떨지 궁금했다. 이번에는 단편집이다. 다섯 편의 단편을 통해서 작가는 어떤 상태로든지 고립되어 범죄를 저지르게 되어 버린 여자들의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만들어 주는 것일까. 



"끝이 없는 건 무섭지."(35p)



표제작인 <용서를 바라지 않습니다>에서는 할머니의 유골을 그녀가 살았던 마을로 다시 모시게 하려는 이야기가 그려진다. 자신의 할머니가 증조할아버지를 죽였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마을에서도 쫓겨났다. 그 이후로 시간이 많이 흘러서 다시 이곳에 유골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이야기는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 내면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게 되면서 무섭도록 급류를 타고 흘러간다. 용서를 바라지 않는 것. 그것이 핵심이다.


<목격자는 없었다>에서는 표면적으로 그려지는 것은 한 남자의 범죄다. 사실 알고 보면 범죄라는 거창한 명목을 붙여서 그렇지 실제로는 그가 발주를 잘못했고 그것으로 영업 실적에서 이익을 내자 취소도 못하고 그러다보니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자신의 잘못을 덮기 위해서 동분서주하는 그런 상황을 그리고 있다. 어떻게 보면 꽤 코믹한 상황이다. 그러나 작가는 그에게 목격자라는 타이틀을 붙여서 그로 하여금 옴짝달싹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어떻게든 숨겨야 하는 자신의 알리바이와 어떻게 증명해야만 하는 알리바이가 충돌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한 여자의 개입은 어떤 선택을 하게 만들었을까.



"믿었는데 당신이 배신했잖아." (226p)


<고마워, 할머니>에서는 조금은 더 놀라게 된다. 한 아역배우의 일상. 그녀를 관리하는 것은 할머니다. 할머니는 적극적으로 아이의 활동을 돕는다. 아이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한다. 물론 배우가 되려면 이렇게 해야만 한다는 명목 하에 말이다. 아이는 아무말 없이 따른다. 평범한 아이가 되려면 자신의 엄마의 말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 아이는 배우의 꿈이 있었던 것일까. 아이는 할머니의 모든 까다로운 조건을 수용한다. 그런 아이가 할머니에게 어떤 행동을 했을까. 서미애 작가의 [잘 자요 엄마]가 생각나는 순간이다.


<언니처럼에서>는 하나의 기사로 시작하고 있다. 마지막 엔딩도 역시 기사다. 어디선가 본듯한 기사라고 대충 읽으면 안 된다. 이 두 개의 기사는 전혀 다른 기사이며 결정적인 범죄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니 말이다. 물론 앞의 기사를 읽고 그것에 홀려서 이야기를 읽어간다면 내가 속은 그 트릭에 똑같이 빠지게 될 것이다. 



살인의 동기는 이해가 안 되는 게 당연합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이해할 수는 없는 법이죠. (252p)

마지막 이야기인 <그림 속의 남자>에서 나오는 트릭은 어느 정도는 풀었다고 생각했다. 그림에 얽힌 이야기. 작가는 남편을 죽였다. 그리고 작품을 그렸다. 그 모든 것에 얽힌 비밀은 무엇일까. 사실 근처까지 갔다고 생각했지만 작가가 숨겨 놓은 트릭을 완전히 풀지는 못했다. 그래서일까 밋밋하다는 느낌을 받았던 순간 모든 진상을 알게 되면서 역사라는 소리를 내뱉게 된다. 


아시자와 요. 이 작가 기억해두겠다. 다음에는 또 어떤 식의 이야기로 독자들을 놀라게 해줄지 아마 앞으로도 작가의 이름이 나왔다면 관심있게 지켜보게 될 것 같다. 예전의 내가 그랬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