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최고의 호러 작가인 미쓰다 신조와 사회파 추리의 대표격인 찬호께이가 한 권의 책으로 만났다는 사실만으로도 독자들의 심장은 두근거리기 마련이다. 그런 만족감을 충분히 선사할 책이 바로 이 책 [쾌]이다. 딱 한 글자인 쾌라는 단어로는 이 작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렵지만 젓가락 괴담이라는 부제로 인해서 이 책이 추구하는 방향을 알게 된다. 일본과 홍콩, 중국과 대만의 작가들이 공통으로 하나의 소재인 젓가락을 가지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만들어 낸 것, 


하지만 일반적인 앤솔로지라고 생각하면 뒤쪽으로 갈수록 어디선가 본듯한 기시감을 느끼게 될 것이며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이 이야기는 릴레이 소설인 것이다. 즉 제일 앞에 주자가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해 놓으면 다음 주자는 그 이야기를 이어받아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펼치면서 그 속에 공통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저젓가락이라고 해서 그냥 아무 젓가락이나 쓰면 안 되는 이유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들은 훨씬 더 난이도가 높은 작업에 도전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미쓰다 신조로 시작해서 찬호께이로 마친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사실 이야기는 굉장히 흥미롭다. 젓가락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면서도 저마다의 특징이 드러나서 그 배경을 유추해 보는 것도 재미난 일이고 이 이야기가 어떻게 끝날지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도 되며 한편으로는 걱정도 든다. 마치 수술할 때 병변을 찾기 위해서 여기저기 다 헤집어 놓은 환자를 봉합해야 하는 임무를 맡은 그런 의사가 된 것인 냥 말이다. 내 걱정은 기우일 뿐 찬호께이 작가는 그런 과정을 말끔하게 수습해 놓았다. 앞에서 설명했던 부분하며 의문점이 남는 부분하며 더불어 자신만의 이야기도 심어 놓는 등 최선을 다해서 아주 말끔히 수술 자국만 남아있을 뿐 더이상 아무것도 남지 않은 그런 완벽에 가까운 무봉기술을 펼쳐놓은 것이다. 그러니 이 이야기가 재미가 없을래야 없을 수가 없다.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어서 더 흥미롭게 읽혀지는 소설 그것이 바로 이 책 쾌이다.


아시아 쪽 사람이라면 다들 알지 않을까. 밥 위에 젓가락이나 숟가락을 똑바로 꽂으면 안된다는 것을 말이다. 한국에서도 제사상에 올리는 밥은 젓가락을 똑바로 찔러 넣는다. 귀신이 와서 그것을 먹으라고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젓가락님>이라는 제목을 가진 미쓰다 신조의 이야기에서는 그런 관습을 이용하고 있다. 매일같이 야생 대나무로 만든 젓가락을 하루에 한번 밥에 똑바로 꽂는다는 것. 그것을 84일 동안 계속하면 젓가락님이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것이다. 그냥 웃고 넘어가 버릴 수도 있지만 여기에 자신만의 소원을 빌기 위해서 시도하는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과연 젓가락님께 소원을 빌고 그것이 이루어짐을 받았을까?


이야기는 쉐시쓰의 <산호 뼈>로 이어진다. 신을 받은 산호 젓가락. 그 젓가락을 언제나 몸에 가지고 다니는 한 아이. 그 젓가락으로 인해서 친구가 생겼지만 그것으로 인해서 오해가 생겼고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야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는 한편의 추리소설을 보는 듯이 조마조마하게 이어진다. 여기를 읽을 때까지만 해도 이 산호 젓가락의 의미를 몰랐다. 이것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말이다. 그래서일까 뒤쪽에서 그 산호 젓가락이 나오고 물고기 무늬의 점 이야기가 나오자 당황하기 시작했다. 이게 별개의 이야기가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을 그제서야 한 것이다. 


릴레이 소설이라는 것은 반드시 '바통'이 주어질 것이고 그렇다면 이야기 속에서는 젓가락 뿐 아니라 이런 얼룩까지도 바통으로 쓰고 있다는 것을 세 번째 이야기로 넘어가서야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예터우쯔의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를 읽고 나서야 말이다. 그렇게 알고 나니 더욱 가속도가 붙는다. 사실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그 이야기 만으로도 충분히 재미를 준다. 귀신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을 주장하며 라이브 방송 중 라면을 먹고 쓰러진 진행자. 그는 알레르기가 있었고 그것으로 인해서 결국 죽었다. 그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일까. 라면을 끓여준 동업자이자 여자친구는 졸지에 용의자로 몰리지만 그녀를 범인으로 몰 아무런 증거가 없다는 것이 밝혀진다.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 



"정신 차리세요! 머리를 조금만 굴려도 알 수 있는 속임수입니다. 세상에 귀신이나 유령, 저주는 없습니다. 당신들 같은 미신 신봉자와 생각을 거부하는 사람만 있을 뿐." (218p)


이런 식의 진행은 범인을 찾아가는 작업만으로도 매우 재미있다. 등장인물은 모조리 다 의심해본다. 그것이 딱 맞아 떨어진 순간 더할 수 없는 짜릿한 쾌감을 느끼겠지만 아직은 하수인가 보다. 또 맞추지 못했다. 이야기 속에서는 범인이 드러나고 그렇게 또 샤오상선의 <악어 꿈>으로 이어진다. 이 이야기는 미쓰다 신조의 작품을 읽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을 주게 한다. 한 여자의 과거 이야기가 중간중간 편집되어 있어서 이 여자가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알게 된다. 민며느리로 팔려서 다른 사람을 좋아했지만 그 사랑은 이루지 못하고 그 집에서도 천대를 받으면서 살아야만 했던 그녀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같이 분개한다. 



비슷한 의식은 많지만 젓가락님의 특징은 피부에 붉은색 물고기 모양의 흔적이 남는 것입니다. (443p)


여기까지 읽었을 때는 이미 산호젓가락과 점에 관해서는 알고 있지만 이 이야기 속에서는 어떻게 풀려갈 지가 궁금해지는 것이다. 책을 읽어가며 모든 소재들이 적재적소에 쓰인 것을 보고 감탄했다. 이것이 바로 릴레이 소설의 강점이구나를 느끼며 말이다. 마지막 이야기인 찬호께이의 <해시노어>를 읽으면서 감탄한 것은 앞 부분에 이미 설명을 했기에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거의 7백페이지에 달하는 이 이야기는 단순히 젓가락을 가지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쓴 것이 아니라는 점에 더 매력을 가지게 된다. 이런 식의 전개가 처음이기에 더 신선하게 느끼게 된다. 여러 국적을 가지고 있는 작가들의 이야기가 그 나라만의 특징을 보여주어 더욱 매력적인 이야기가 된다. 기회가 닿는다면 우리나라 작가들만으로도 이런 식의 릴레이 소설을 써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만약 그런 책이 나온다면 그때는 처음부터 어떤 요소가 바통으로 사용되었는지 정말 집중해서 보리라.


더하기. 598쪽에 [봉신연의] 소설이 언급되서 오래된 친구 만난 냥 반가왔다. 이렇게 내가 읽었던 책이 다른 책에서 언급되는 왜 기쁜 것일까. 나는 그 이야기를 이미 알고 있다는 그런 우월의식인가 아니면 작가도 나랑 같은 책을 읽었다는 동질감이나 공감대 형성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