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
디파 아나파라 지음, 한정아 옮김 / 북로드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찬드니, 루누, 안찰, 옴비르, 바하두르, 카비르, 카디파 , 우리 아이들 어디 있냐? 어디 있냐고? (378p)

일단 먼저 변명을 하자. 나는 인도 사람이 아니지만 인도 사람들이 보면 당신네 나라 사람들이 다 이렇지는 않다라고 말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말이다. 아이들이 한 두 명도 아니고 줄줄이 계속 사라졌는데 수사도 하지 않고 뇌물만 바라는 그런 경찰만 있는 것은 아닐 거라고 말이다. 자신들의 아이들을 찾아 달라고 차곡차곡 모아두었던 비상금을 갖다 바치고 목숨처럼 걸고 있던 금목걸이를 갖다 바쳐도 들은 척도 안 하고 그냥 기다려만 보라고 하는 경찰이 전부는 아닐 거라고 말이다. 그것 뿐인가. 빈민가에 사는 사람들에게 걸핏하면 마을을 쓸어 버릴 거라고, 흔적도 없이 만들어 주겠다고 협박이나 하는 경찰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거라고 말이다. 그렇게 변명을 하면서도 내심 한편으로는 그런 사람들이 진짜 있으면 어떡하지라는 생각도 든다. 실제로도 이렇게 아이들이 없어지고 있으면 어떡하지하는 섬찟함과 함께 말이다.


인도가 배경이라는 점, 아이가 주인공이라는 점 이  두가지 점 때문에 이것이 그저 단순한 아이들용 이야기일까 사실 걱정했었다. 걱정은 기우였다. 초반부만으로도 상들을 수상한 작품 답게 어마어마한 속도로 몰입하게 만드는 감이 대단하다. 자이라는 아홉살 아이의 시점으로 보는 이야기들은 친구들이 없어졌다고 친하게 지내는 친구들이랑 탐정단을 만들어 친구의 행방을 쫒는 그런 면에서는 정말 딱 그 또래의 아이들처럼 순수함이라던가 상상력들을 엿볼 수 있지만 그에 반해 엄마의 비상금을 몰래 쓰고 그것을 채워 넣기 위해서 일을 하거나 형이 잡혀갔다고 학교를 가기보다는 일을 해야 하는 친구의 모습을 보면서 생활에 찌들은 어른같은 모습을 보기도 한다.



당신들은 무슨 재미있는 이야기처럼 말들을 하는데, 이건 우리한텐 삶이 걸린 문제야 무슨 뜻인지 알아? (389p)


가장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 중의 하나가 바로 인도가 아닐까. 본문 속에서도 그런 언급은 역시나 들어있다. 전반적으로는 자이가 살고 있는 동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기 때문에 그런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지만 집에 화장실이 없어서 공중 화장실에서 줄을 서서 이용하는 모습이라던가 물이 나오지 않아 물을 길어서 생활하는 모습 등 지금으로서는 생각하기 힘든 수준의 생활환경이 그려져서 저들이 사는 동네가 어떤지를 단번에 알아차릴 수가 있다. 그런가 하면 후반부에서는 아이들이 잡혀갔을 것으로 생각되는 고층 아파트가 등장을 한다. 아이들을 찾으러 간 곳은 아파트의 41층. 자신들이 살던 동네와 너무 다른 모습에 사람들은 당황도 하지만 아이들을 찾는 것은 가족들 뿐이고 나머지는 그 아파트에 있는 것을 훔치기에 급급하다. 하다못해 소금통까지도 모조리 자신들의 주머니에 넣고 보는 저들의 모습을 보면서 부의 차이를 대번에 파악하게 된다.


아무리 실종 사건이 계속 된다고 해도 솔직히 아이들이 나오고 그 아이들이 주인공인 이상은 아주 조금은 해피엔딩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대도 했다. 그럴 것이라도 확신도 했다. 그런 모든 생각은 전혀 핀트가 맞지 않아 버렸다. 이러면 안되는데라고 생각할만큼 잔인하게 현실을 그대로 반영해 버린 저자에게 약간의 반감도 가져본다. 그래도 저들에게 희망은 주어야 하는 거잖아요 하고 말이다. 이런 식의 끝은 저들에게 너무 아픈 현실을 한번 더 되새겨주는 것이지 않을까. 이제 저들에게는 더 이상의 아픔은 없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