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팜
조앤 라모스 지음, 김희용 옮김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인

딸 아말리아를 데리고 있는 엄마. 그녀는 아이를 잘 키우고 싶다. 아테가 아픈 바람에 그녀가 하던 보모일을 잠시 대신했다. 잘 해낼 수 있을 줄 알았던 그녀의 일은 방심한 사이 자신의 행동이 드러나면서 없던 일이 되어 버렸다. 이제 그녀의 선택은 하나였다. 아테가 소개해준 그곳에 가는 것.

레이건

명문 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한 평범한 여자.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삶에 무언가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는 생각과 함께 부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 돈을 벌어 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 생각의 결론은 그곳에 가는 것이다.

아테

제인의 사촌.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돈을 벌러 온 2남 2녀의 엄마. 신생아 보모로 어느 정도 돈은 벌었지만 건강악화로 인해서 그 일을 그만두고 요리사로 일을 하면서 사람들을 그곳에 소개하는 일을 한다.


메이

골든 오크스의 주인. 중국인 아버지와 미국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혼혈로 이선과의 결혼을 앞두고 있다. 자신의 사업인 골든 오크스를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무리 기술이 발달을 했다 하더라도 아직까지 임신과 출산은 여성만의 일이다. 그것때문인지 불평등이라는 소리가 나오기도 하고 페미니즘이라는 것이 항상 그 끝에 연결되기도 하고 그와 관련된 디스토피아적인 이야기들도 많이 나오는 편이다. 이 역시도 그러하다. 인간의 아니 여성의 생식능력은 규제화되고 대량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메이가 운영하는 골든 오크스에는 호스트들이 상주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몸을 빌려준다. 어렵게 돌려 말해서 그런 것이고 쉽고 빠르게 말하자면 대리모다. 대리모 사업인 것이다. 건강하고 젊은 여자들을 모집해서 그들의 자궁을 빌려서 아이를 낳는다. 아이를 갖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그들이다.

하지만 본문속에서는 다른 경우도 등장을 한다. 그것은 바로 아이를 갖고는 싶지만 자신의 커리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아이를 가지는 그 시간이 아까운 사람들도 있다는 것이다. 능력은 된다. 아이를 키울 가정도 있다. 하지만 자신의 능력을 포기할 수 없다. 그렇다면 골든 오크스를 찾아라 뭐 그런 것일까. 자신의 난자를 사용해서 아이를 만든다. 그리고 그것을 호스트의 몸에 주입시킨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를 다시 유모를 두고 아이를 돌보게 시킨다. 자신은 그 모든 시간에 자신의 일을 한다. 그렇다면 그 아이는 자신의 아이일까. 자신을 엄마로 인정하고 느끼고 결합되었다는 의미를 가지게 될까? 아니 무엇보다도 모성애라는 것은 존재할까.


입양아를 소재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에는 낳은 정이냐 기른 정이냐를 놓고 논쟁을 할 때가 많다. 아이를 낳았지만 피치 못할 사정에 의해서 아이를 키울 수 없는 경우에 맡겨진 아이. 그리고 그 아이를 키운 엄마. 그 어느쪽이 더 우세할까. 아니 우세라는 말이 조금 그렇긴 하지만 그래도 그 아이에게 정을 더 많이 준 것은 누구일까. 그것에 따라서 모성애라는 것이 결정되지 않을까.


옮긴이의 말에는 시녀이야기를 언급했다. 나는 [소멸세계]라는 작품이 생각났다. 관계를 통해서 태어나는 것이 정상이 아닌 그런 세계. 임신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뽑아서 인공수정을 하고 아이를 낳게 한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는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같이 공동으로 기른다. 모든 사람이 다 엄마가 되고 모든 사람의 아이가 되는 그런 경우와 이 경우가 다른 점이라는 개인적이거나 단체적이거나 하는 것뿐이다.

베이비 팜. 아이를 농장처럼 사육하는 곳. 이런 농장이 현실화된다면 그나마 인구가 늘어날테니 다행이라고 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인간을 어떻게 사육할 수 있느냐고 논란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