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 - 모든 글쓰기의 시작과 완성, 개정증보판 세상 모든 글쓰기 (알에이치코리아 )
정희창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맞춤법을 틀리게 쓰는 사람을 별로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오타를 싫어한다는 소리가 아니다. 그것은 실수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니 당연히 감안한다. 내가 얘기하는 것은 맞춤법이다. 뭐 닭을 닥으로 쓴다던가 하는 것은 외국인들밖에 없겠지만 실수에 의한 것이 아닌 잘못된 사용을 별로라 한다는 것이다.

 

어렸을때 어린이 기자를 해서 기사를 썼고 대학 때도 신문사에 있었고 책도 많이 보아온 터라 남들보다는 정확한 맞춤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띄어쓰기는 여전히 어려웠다. 어디서 띄워야만 제대로 띄우는 것인지를 헷갈렸던  것이 이유다. 순전히 그 목적으로 이 책을 선택했다. 그런 기대와는 다르게 조금은 얇은 책이 어? 하는 생각을 가지게 했지만 얇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요소들이 빼곡히 들어있어 오히려 두껍기만 하고 소용없는 책보다는 훨씬 나은 면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왠'과 '웬'을 구별하는 것은 검색을 통해서 공부했었다. 왜인지가 줄어들면 왠이 된다는 것. '대'와 '데'의 경우도 이미 알고 있어서 확인하는 것은 즐거웠다. 대가 전달한 것을 말할 때 쓴다. 쉽게 알 수 있는 법칙도 있다. 끼리끼리, 즉 아는 아끼리 어는 어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막아'와 '먹어'가 그 대표적인 예다.

 

'알다'가 줄어서 '앎'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밀다'가 줄어서 '밂'이 되는 경우는 낯설었다. 새로운 것을 배웠다. 동일한 방법으로 '살다'도 '삼'이 아니라 '삶'으로 써야만 맞는 표현이다. 서울에서 3년 삼. 이게 아니라 서울에서 3년 삶. 이 표현이 맞는 것이다. 이렇게 써 놓고 보니 자주 쓰지 않아서 그렇지 어느것이 맞는다는 것은 느낌으로 알 수 있겠다.

 

'되'와 '돼'의 경우도 많이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다. 되었다로 바꿔 쓸 수 있으면 돼로 표기하면 된다. 알고 있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매번 볼 때마다 헷갈려서 번번히 검색에 의존하는 것이었는데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겠다. 사이시옷도 한글 맞춤법 상 어려운 부분이기도 한데 네가지 조건이 맞아야 한다고 한다.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합성어여야 하고 한자어나 외려어의 구성이 아니어야 하며 다 맞다 하더라도 예외적인 표현은 있고 길이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생각보다 어렵다. 자주 쓰는 단어들은 외우는 것이 보다 더 쉽게 사용하는 방법이라 생각되기도 한다.

 

'띠다'와 '띄다'는 확실하게 알고 있는 표현이지만 '띄어쓰다'와 '띄어쓰기하다'를 어떻게 띄워써야 할지는 조금 어려웠는데 앞단어는 중간을 한번 띄고 뒷단어는 그대로 붙여쓰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역시나 맞춤법 보다는 띄어쓰기가 나에게 조금 더 어려운 부분이다. '참을수가 없다' 이 경우는 '참을 수가 없다' 이 표현이 맞는 것이다. 이 역시도 자주 쓰는 부분은 외우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다.

 

책에서는 북한의 경우도 설명하고 있었지만 비단 그것까지 알아야 할까라는 의문점은 조금 남았다. 본문에서도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하려면 국어 사전을 찾아보라고 할 정도이니 요즘에는 온라인 사전을 찾아서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모든 글을 쓸때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겠지만 작가가 되어서 책을 내기 위한 원고를 쓴다거나 작가가 쓴 원고를 편집을 한다거나 하면 대충 자신이 아는 대로 보기보다는 귀찮더라도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한국 사람이다. 한국말이라도 제대로 알고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옳은 한글의 사용을 위해서 한 권쯤은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으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