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 5일의 문장


어린이에 대한 사랑과 보호의 정신을 높임으로써 이들을 옳고 아름답고 슬기로우며 씩씩하게 자라나도록 하기 위하여 매년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하며, 5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를 어린이주간으로 한다.


대한민국 [아동복지법 제6조. 어린이날 및 어린이 주간] 


ㅁ 어린이날의 유래라고 하면, 방정환 선생님이다. 독립운동가이면서, 


어린이를 처음 사용한 분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전에는 애기, 어린 것 이라고 불리면서


그다지 좋은 느낌으로 불리지 않았던 것 같다.


그가 생각한 어린이는 티없이 맑고 순수하게 뛰놀고 걱정 없이 지내는 모습이었다고 한다.


ㅁ 사실 어린이날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한다. 공휴일임에도 단지 쉬는 날이라고 생각했지,


내가 어린이였을 때에도 별 생각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렇다고 막 놀러 간 적도 없는 것 같고...


알고 보니 이게 법적으로 보장된 날이였구나. 법을 보고 알았다. 왜 복지법인진 모르겠지만...


사실 의미대로 보자면, 어린이에 대한 사랑과 보호의 정신을 높이는 게 목적이라지만,


현실은 어린이들과 놀아주는 날이겠다. 그게 사실 방정환 선생이 원하던 것일지도...


ㅁ 방정환 선생님이 하신 말이 있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한 시대 더 새로운 사람입니다. 어린이 뜻을 가볍게 보지 마십시오. 


싹을 위하는 나무는 잘 커가고 싹을 짓밟는 나무는 죽어버립니다."


너무 멋진 말 아닌가? 이게 1923년에 쓴 말이라고 한다.


이미 그는 어린이에 대한 무한한 존중을 보여주었다.


요즘 보고 있으면, 물론 모두 그렇지는 않겠지만, 씁쓸한 일도 많았고, 과연 요즘의 어린이들은


그가 생각한 어린이처럼 지내고 있는지...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날.


어린이날이 그저 공휴일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새삼 이렇게 찾아보니까


조금은 경건한 마음을 가져도 좋겠다. 모두가 지나온 그 시절을 생각하고,


한 시대 더 새로운 사람들에 대한 존중과 사랑을 보여주는 날이었다.


ㅁ 하루를 담는 문장 ㅁ


p.s. 그의 유언이라고 한다. 

"문간에 검정 말이 모는 검은 마차가 날 데리러 왔으니 가야겠다. 어린이를 두고 가니 잘 부탁하오."

... 뭔가 곱씹게 되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