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작가수업 2
김형수 지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적인 삶을 만드는 창작이란 행위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아시아) - 김형수

   ㅁ 모든 사람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삶을 한 단어로 뜻풀이를 한다면 어떤 단어를 택할 수 있을까? 그 대답에서 과연 삶이 예술이라고 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생각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책 제목이 무척 매력적이지 않나? 삶이 어떻게 예술이 될까. 아니 나는 이런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올랐다. 애초에 삶이 예술이 될 수 있긴 한걸까? 이 책에는 어떤 대답을 써두었을까? 
 그런 생각에서 책을 집었다. 그 전부터 책의 존재는 알고 있었다. 하지만 선뜻 읽고 싶단 생각이 없었다가,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읽어야할 책 3권 중 하나라는 걸 들었다.(아마 유시민 작가님이 말했던 걸 어디선가 주워들었다.) 그 후로 책을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했고, 새해가 되고 산 첫 책이다. 새해엔 마치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는 의미에서, 이 책으로 시작해야겠단 생각을 하던 차였다. 왜 하필 이 책이냐고 말한다면 별 이유는 없다. 무언가 시작하기에 적당한 책이란 느낌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시작한 책이었고, 결과적으론 기분 좋은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지금 리뷰를 쓰는 지금은 새해의 1/12이 끝난 뒤라 그 때의 산뜻한 시작은 이젠 없어졌다. 그건 마치 먼 과거의 일처럼 지나가버렸다. 하지만 (감상을 쓰기 위해) 책을 다시 보면 '그 때 그런 느낌을 받았지...' 라고 어렴풋이 감정흔(痕_흔적 흔)만이 아른거린다. 새해의 첫 시작이었던 책에서 그 때 그 감정을 다시 끌어낼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 때의 감정이 아니라면 어떠랴. 그저 책에 대한 솔직한 감정을 그대로 쓰고, 그걸 온전히 담을 수만 있다면 그것만으로 이 감상은 그것대로 가치 있는 글이 될꺼라 믿는다.

   ㅁ [삶의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라는 책은 사실 시리즈로 묶인 책이다. 제목 위에 잘 보면, ‘작가수업 2’라는 말이 붙어있는데, 그걸 보면 작가 수업 1이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나는 그걸 보지 못했다가 뒤늦게야 알았다. 그리고 작가수업 1이 무엇인가 찾아보았는데, 제목이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였다. 어떻게 되기전에 언제 되는지 먼저 알았어야 했나? 그런 생각이 들었다. 물론 how와 when의 차이는 분명 크지만, 기나긴 삶에서 과연 저 두개에 순서를 부여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 편의상 작가수업 1, 2라는 타이틀이 있는거라고 나름대로 합리화했다. 어쨌든 저 첫 번째 책도 기회가 된다면 한 번 읽어보면 괜찮을 듯.
 어쨋든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어떻게’에 대한 이야기다. 방법적인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는데, 작가수업이란 시리즈에 걸맞게 작가가 되는 ‘방법’에 대한 책이다. 책을 쓰기에 앞서 어떤 마음가짐으로 시작하는지, 그리고 글을 쓰는 순간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마지막으로 글을 쓴 뒤엔 어떻게 돌아봐야하는지, 한편의 글(즉 누군가에게 공개하는 완성된 글)을 만드는 전 과정에 대해, 작가 자신의 경험과 주변의 이야기를 곁들여서 풀어낸다. 여기까지만 들으면 그저 글쓰기 방법론에 대한 아주 지극히 단조로운 책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나 역시 목차만 보고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의 다른 점은 바로 그런 딱딱한 방법론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오히려 한 편의 에세이? 수필? 소설 같은 글이었다. 문체도 읽어보면 알겠지만, 그냥 말하는 걸 다듬어서 옮겨 써둔 것 같은 느낌이다. 대부분의 비문학들은 ‘~다’의 어미로 글을 끝내서 딱딱한 느낌이 들 수 밖에 없지만, 이 책은 ‘~요’의 문체가 가미되어 책 자체를 엄청 말랑말랑한 느낌이다. 좀 더 부드러워졌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렇기 때문이 이 책은 방법론에 대한 비문학이 아니다. 오히려 인문학에 가까운 느낌이다. 제목부터가 인문학적인 분위기가 풍기는데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ㅁ 무엇보다도 여기서 말하는 글은 전적으로 문학(특히 소설과 시)에 한정된 이야기다.(그래서 책은 이를 창작이라고 부른다.) 그래서인지 읽어보면 알겠지만 글 쓰는데 어떤 답이 있는 것처럼 들리지 않는다.  글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책에 있는 내용을 써보면 ‘씨앗이 무르익을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는 ‘첫 문장은 신이 내린다.’라고 한다. ‘이건 뭐... 그냥 되는대로 하란 이야기네.’라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나는 이 책은 글을 쓰는 사람에게 분명히 필요한 책이라고 말하고 싶다. 글을 쓰는데 꼭 감정적인 부분이 없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학이란 작품은 그 자체만으로 정보전달의 글이 아니다. 그래서 비문학을 쓰는 사람에겐 이 책이 어떠한 도움을 못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다. 비문학이라고 정보만을 전달하는 게 목적일 수 없다. 정보를 어떻게 전달하는지, 그리고 그걸 읽는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드리는지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글의 문체가 아무리 깔끔하고 문단의 정리가 잘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따분하고 지루할 수 있는 게 바로 글이다. 글은 말이 아니라서. 우린 글에 감정적인 요소를 배제해버리면 마치 영혼 없는 위로처럼 전혀 와닿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
 난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라는 책에서 그런 부분을 오히려 얻었다. 창작을 위해 읽기 시작한 책이었지만, 오히려 창작 너머의 ‘한편의 완성된 글’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잘한 요소들을 알게 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무르익을때까지 기다려야하는 씨앗’도 글을 써두기 전에 속에서 다듬어질 여유를 줘야한다는 말이었고, ‘신이 내린다는 첫 문장’도 사실 그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시작(아니면 서문)을 의미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창작에서도 그렇고, 글을 쓸 때도 그렇고, 더 나아가면 내가 살아가는 순간에도 책의 내용들은 어떤 중요한 화두로 생각할 수 있었다.

   ㅁ 무엇보다도 가장 인상깊었던 주제를 고르자면, 합평에 관한 부분이었다. 보통 글쓰기 방법론에 관한 책은 글을 쓰고 나서의 이야기가 별로 언급되지 않았다. 애초에 창작을 주제로 잡은 책이 아니었기도 했으며, 자신이 직접 진행하는 퇴고 정도의 이야기만이 나와 있을 뿐이었다. 문학작품을 쓰는 사람들이라면 합평이란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합평이란 여러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주고 받으며 비평하는 걸 의미한다. 창작에 있어서, 창작물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곳에서 본 문장 중 하나를 가져왔다.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인식 틀을 사용, 과시하기 보다 작가나 독자보다 한발 앞서가는 감식안이 성장하려면 항상 작품 전체의 맥락을 놓치지 않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읽는 자가 자기 논리를 구성하느라 쓰는 자의 것을 부정확하게 한 구절씩 따서 사용하는 것은 자못 심각한 폐단이에요.
p. 202
 그러니까, 지금 내가 하는 이 짓, 문장을 가져와서 자기 논리를 펼쳐는 짓을 하지 말라는 건가 처음엔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나름대로 이건 비평하기보단 감상을 쓰는 거니까 나름대로 합리화 해보면서...(이건 서평이 아니라 감상이니까) 어쨌든 서평이나 합평, 어떤 글에 대한 비평에 있어서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으로서 작가님은 위에서처럼 말한다. 그리고 제시한 건 내용 전체에 대한 이해. 완성된 글에 자신의 의견을 전할 땐, 한 문장처럼 특정 부분으로 지적하지 말라는 의미로 들렸다. 글 뿐만 아니라 어떤 의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모든 일에 같은 이야기가 적용되는 듯 했다. 새삼 째째하게 지적한 일들이 기억이 났다. 조금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다.

   ㅁ 책을 덮으면서 과연 나는 제목에 대한 답을 찾았는지 궁금했다. 내 삶이 어떻게 예술이 되는지 알게 되었냐고 물어본다면, 난 아직은 모르겠다고 답한다. 내 삶을 다 살지도 못했는데, 예술이 될지 말지 내가 판단할 수 없는 것 같다. 하지만 다른 걸 알았다. 내 삶은 아니고, 그냥 '삶' 삶 그 자체가 예술이 되는 법은 알았다. 창작이랑 행위가 삶을 예술로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창작에서 누군가의 삶을 부여하고 그 일부를 내가 글자로 옮겨쓰면서 그들의 삶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게 하나의 예술이 되고, 거기서 예술적인 삶을 기대하는 내가 있다. 그저 작가님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었는데, 거기서 많은 걸 깨우친 기분이었다. 작가님이 말해서 얻은 것도 있고, 그저 내가 곱씹으면서 알게 된 것도 있었다. 예술적인 삶을 만들 수 있을진 나도 모르겠다. 다만 창작이란 행위를 하면서 삶과 예술, 이 두 단어가 생각보다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앞으로, 그리고 먼 미래에 내가 영위할 창작은 삶과 예술이 함께 버무려지는 것이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만 마무리해야겠다.


창작은 삶을 예술로 만드는 과정이고, 그 앞에서 우리는 예술적인 삶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