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징조와 연인들
우다영 지음 / 민음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현대문학에서 느낀 산뜻한 소설이었다.

[밤의 징조와 연인들] - 우다영


ㅁ 밤과 징조와 연인. 세 단어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어서, 이런 제목이 나오늘 걸까. 정확히는 밤'의' 징조라고 하는 걸 보아하니, 어떤 걸 보았길래 밤이 생길 '기미'를 알아차린걸까. 연인은 그 사이에서 무엇이었을까. 이런 사소한 의문이 슬금슬금 피어오르는 겨울날이었다. 서가에서 발견했던 그냥 눈에 띄던 제목의 책을 읽었다. 읽는 동안 묘하게 현대소설과 좀 다른 느낌이었다. 안에 들어간 총 8편의 단편들 중 절반 정도는 좀 더 산뜻하다고 느꼈다. 책을 다 읽고 리뷰를 쓸 때서야 책이 18년 11월에 발간되었고 작가가 90년생(!!)이라는 걸 알았다. '엄청 최근 책이었구나.' 이해되면서도 조금은 놀랐다.


ㅁ [밤의 징조와 연인들]들은 우다영 작가님의 8편의 단편소설집이다. 아마 첫 번째 소설집으로 알고 있는데, 다른 소설집이 있긴하지만 작가님의 이름이 걸린 책은 이것이 처음인 듯 했다. 누군가의 첫 소설집이라... 생각해보면 문학작품에서 누군가의 첫 소설을 읽어본 경험이 얼마나 있던가 싶었다. 보통 스테디셀러나 유명작가의 최신 책을 주로 눈에 띄게 두는 서점에선 이제 막 등단하신 작가님의 첫 소설책을 발견하는 게 엄청 어려운 일이리라. 근데 눈에 띄던데... 내 눈에 왜 띈건지 잘 모르겠다. 그냥 자연스레 끌렸던 책이라서 보게 되었다. 어떤 책이든 보게 된 계기가 중요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으니... 별 상관은 없는 것 같다. 어쨋든 이 기회에 새로운 작가님을 알게 된 것에 만족하고 있다.


ㅁ 전반적으로 연애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다. 아니 정확히는 연애를 빙자한 우연의 이야기라고 해야할까. 그래서 제목이 연인들이란 제목을 보고 "이건 '연인들'이라기 보단 '인연들'이 맞지 않나?" 생각했다. 제목이 그냥 한 단편소설의 제목인줄도 모르고...;; 어쨋든 책 뒷 표지에 나와있듯이 어떤 '기미'들을 모든 사람들이 어떻게 지나왔는가. 나는 각 단편들이 이 질문에 대한 나름의 대답들이라 생각했다. [밤의 징조와 연인들]에서 이수와 석이의 관계가, [노크]에서 자신을 찾아온다던 여성의 전화도 그렇고, [셋]에서 만난 세명의 여자와 한 명의 남자들도, 이 모든 게 어떤 게 일어날 '기미'였던 게 아니었을까. 작가님의 그들의 삶에 '기미'를 가미하여 서사가 진행된다. 마치 지금 글을 쓰면서 앉아 있는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 사람들이 바로 그런 '기미'라는 걸 암시하듯이.


ㅁ 모든 단편소설집들이 그렇지만, 좋은 작품도 있다가도 별로인 작품도 눈에 띈다. 조금 신선했던 작품은 바로 [미래와 밤]이었다. 처음엔 '어디서 봤는데...'라고 생각하다가 계나라는 이름을 보고나서 알았다. '아 한국은 싫어서 후속편이구나.' 장강명 작가의 [한국은 싫어서]의 작품에 대한 이후의 이야기를 담으셨다. 물론 저 작품을 모른다고 하더라도 읽는데 문제가 있는 건 아니다. 왜나하면 그걸 제끼고도 중요한 진짜 같은 허구가 들어있으니까. 어쨌건 신선했다. 이야기가 마무리된 소설의 연장선을 엿본 기분이라 재밌게 읽었다. 마치 영화 엔딩크레딧 이후 짤막하게 나오는 쿠키영상 같은 기분이랄까? 다른 단편소설에 비해 무척 짧은 내용이었지만, 왠만한 것들보다 기억에 많이 남은 소설이었다.(소설들의 비중이 일정하진 않은 듯했다. [미래와 밤]은 짧은 편에 속했다.)


ㅁ 개인적으로 한국현대소설을 자주 읽는 편이다. 다른 이유는 없고 그냥 내 정서와 감정에 더 맞는 느낌이라서 그러는 편이다. 처음에는 유명한 작가님들의 조금은 유명한 작품부터 읽기 시작한 게 어느덧 어떤 취향이라는 게 생기기 시작했다. 그 무렵부터 작가의 폭과 작품의 폭을 넓혀가기 시작했는데, 한국현대소설만의 공통적인? 약간은 비슷한 느낌이 있었다. 이걸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모르겠는데, 난 이런 느낌이라고 생각하는 편이다. 바닥에 두텁게 깔린 물안개. 촉촉하기 보단 축축한데, 그렇다고 어두운 날은 아니면서 동시에 너무 밝지 않고 주변은 살짝 흐려 궁금증을 유발하는 그런 공간. 딱 그런 느낌이었다. 물론 내가 모든 한국현대소설을 읽은 게 아니기까 이 느낌이 그 분야를 설명하진 못한다. 하지만 그런 편견이 서서히 자리잡고 있었던 건 맞다. 이건 소설들의 배경이 그렇다는 게 아니다. 소설을 읽을 때 음미하는 느낌이다. 소설에 쓰이는 단어부터 구절 하나하나가 주는 느낌이었다.


ㅁ 그러던 와중에 다른 느낌을 받은 책이 [밤의 징조와 인연들]이었다. 읽으면서 뭔가 신선한 느낌을 받았는데, 그게 아마 작가 특유의 느낌이 아니었을까 생각했다. 생각해보면 내가 읽은 작가님들은 나와 시대적으로 좀 떨어진 사람들이었고, 나와 비슷한 시기의 사람이 쓴 소설은 [밤의 징조와 연인들]이 처음이었다. 이게 사람이 사는 시간대에서도 차이가 만들어지는 걸 느꼈다. 뿐만 아니라 단편소설 하나하나에도 주제도 참신한 게 있다. 앞서 말한 [미래와 밤]이 가장 신선했고, [조커]나 [셋]도 살짝 그런 면을 느꼈다. 물론 어떤 나이가 더 참신한 걸 만드는 게 아니지만, 그래도 그 시대를 산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게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그 점이 이전에 읽은 한국현대소설과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을지 않을까.


ㅁ 책 끝무렵엔 보통 작품해설 비슷한 게 있다. 거기에 작품에 대한 설명이 장황하게(난 그게 장황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늘어져 있는데, 다 필요없고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고르자면 다음과 같다.

그 때 그녀가 우리에게 제안하는 것은 '신비로움'이다. 보통의 이론이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만큼 신기하고 묘함'을 의미하는 이 단어 속에 우다영의 소설세계를 압축해서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모두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p.390 작품해설(한영인 문학평론가)

그렇다. 작가님이 그렇게도 말하던 '기미'나 우연, 인연, 그리고 징조. 이 모든 게 바로 저 신비로움이라고 뭉칠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난 조금은 다른 느낌, 오히려 '우연의 기묘함'이라는 말로 뭉치고 싶지만 말이다. 물론 그 어감이 다르겠지만, 이 책을 읽는 사람들에겐 이쪽이나 저쪽이나 비슷하다고 본다. 어쨋든 작가님이 노린 게 이런 부분일까. 앞으로 나올 책들이 기대되는 작가님이다. 어떤 소설로 또 다시 산뜻함을 주실지 기대하며 끝맺는다.

이 책이 지나온 과거와 당도할 미래에 함께하는 모든 사람에게 고맙다는 저자님의 말이 너무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