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26일의 문장


누구든 구두를 벗고 물속에 한 발을 들여놔야 합니다. 그런 수고도 하지 않고 남 몰래 슬쩍, 표시 안나게, 못 잡아도 아무런 손실이 없는 수준에서 해보려고 해도 될 만큼 손쉽게 달성되는 일이 아니라는 거죠. 적어도 창작을 하려면 글 쓰는 나를 공인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나를 공인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등단이 어떻고 저서가 있고 없고 하는 문제가 아니라 자신을 창작의 주체로 인정하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아시아) - 김형수


ㅁ 길다. 문장이란 것은 마침표로 딱 끝맺어야하는 것인데도, 이렇게 길게 쓴 이유는,


한 문장 한 문장이 다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결국 하고 싶은 말은,


자신을 창작의 주체로 인정하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라는 것.


ㅁ 얼마전에 한 친구와 합평을 시작했다. 약간의 강제성을 줘야겠단 생각이 들었을 무렵에


들어온 제안이라서 덥석 잡았다. 시간이 몹시 부족한대도 일단 쪼개면서 조금씩 쓰려고 노력한다.


막상 이렇게 준비하니, 새삼스럽게 위 문단이 담긴 책이 생각났다. 


김연수 작가님의 [소설가의 일] 이후로 읽어봐야지 생각하다가 드디어 책을 손에 잡을


기회가 생겼다. 그 시작에 앞서 오늘의 문장으로 남겨본다.


짧게나마 글을 매일 쓰는데, 과연 난 창작의 주체가 맞을까? 라는 질문을 던져보면


아직 잘 모르겠다. 이런 글은 에세이니까 창작이란 말보단 생각을 옮겨쓰는 글일 뿐이라서


아직 난 창작의 '창'자도 다가가지 못 한게 아닐까.


창작이 뭘까. 과연 주체가 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아직 와닿지도 이해하지도 못하는 걸 보면


난 아직 창작을 하는 사람은 아닌가보다. 생각을 옮겨쓰는 사람인 듯. 기록하는 사람?


이것도 지금의 날 표현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기록하는 사람도 좋은데, 창작이란 걸 해보고 싶다. 근 몇 개월동안 그런 일을 하고 싶었다.


예전에는 몰랐는데, 이제야 알게 된 사실은


내가 하고 싶었던 것들이 모두 어떤 걸 '창조'하려는 욕구에서 시작했던 걸


정말 최근에서야 깨달았다. 그게 글이든 내가 하는 전공이든 말이다.


ㅁ 하루를 담는 문장 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