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밀밭의 파수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4번째 학교에서 퇴학당한 주인공이 집으로 돌아가기까지의 여정이라고 해야할까? 책을 다 읽은 후 좀 맥빠지는 기분이 들어서 주인공의 넋두리, 행적들을 찬찬히 다시 살펴야할까를 망설이다가 그만두었다. 별 의미없는 행동들, 의미없는 언어들, 목적없는 방황... 대신 주인공의 입장을 공감해보는 쪽으로 마음을 바꿨다. 주인공의 우울, 냉소, 의심, 충동들을 이해하는 쪽으로...
주인공의 기억 한 가운데 자리잡은 상처, 충격은 사랑하던 동생의 죽음이다. 그 죽음은 손의 고통으로 늘 그를 따라다닌다. 그리고 부모로부터, 선생님이나 친구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 고등학생...아이도 어른도 아닌... 그리고 소심하고 나약한 성격. 그를 둘러싼 현실은 그가 스스로 학교 안에서, 학교 밖 거리에서, 부모(가족)로부터 소외된채 방황하도록 한다.
어느 자리에서고 그는 스스로에 대한 책임을 강요받겠지만 한편 자신을 온전히 책임질 수 있는 어른으로 완전히 탈피한 것도 아니지않은가. 그 모든 것이 혼란스럽고 갈피를 잡기 힘들겠지. 좀 별난 구석이 있는 주인공은 역시 별나게 성장통을 된통 앓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지 않을까?
극심한 혼란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며 주변 모두의 위선을 끔찍해하며 달아나고만 싶어해서 언뜻 그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되는대로 시간을 보내는 것 같지만, 그 가운데 주인공이 원하는 것이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와 진실하고 가식없는 순수한 대화, 만남을 원했고, 자신의 상처를 이해받고, 사랑받고 보호받기를 원했던 것만 같다. 물론 자신의 여동생만큼은 보호해주고 싶었던 것 같다.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원하는 것을 동생에게 해주고 싶고, 또 동생의 자신에 대한 사랑에 감동하고...
하지만 주인공이 원하는 방식대로의 요구가 거절당하고 있고, 또 거절당할 것이 두려워 자꾸만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도망치려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주인공처럼 누군가 또 그런 자신을 스스로 방치하고 있다면 그의 방황이 길지 않기를, 그리고 그 아픔, 과정을 딛고 성숙한 자기로 우뚝 서기를 바랄뿐이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