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동물의 탄생 - 동물 통제와 낙인의 정치학
베서니 브룩셔 지음, 김명남 옮김 / 북트리거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어떻게 동물 악당을 만들어 내는가?

인간의 모순에 도전하는 ‘선 넘는 동물들’ ‘유해동물’의 몸을 가로지르는 욕망과 문화, 신화와 과학의 자연사를 담은 이책은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하지만 어떤 동물들은 조금 더 평등하다. 라는 문장의 소개로 시작된다.

우리가 동물의 영역을 넘어서 선넘는 동물들이 되진 않았는지, 동물은 변한적이없는데 우리의 시선이 변한게 아닐까 싶다.

동물들이 살아가는 터전을 우리가 빼앗고, 빼앗긴 동물들을 이해하지 못한채 우리가 사는곳으로 내려오면

그 동물들은 나쁜 동물이 되는것같다. 고작 살아갈 음식, 먹이가 없어서 먹이를 찾아 본능적으로 내려오는것인데

그들이 살아갈 터전을 빼앗겨서 내려오는것일 뿐인데, 인간들은 인간에게 위협이 된다고 나쁜 동물이라고 칭한다.

지난 2024년은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이 시작된 지 20년째 되는 해였다. 당시 방사되었던 세 쌍의 반달가슴곰은 어느덧 세대를 거듭하여 80여 마리에 이르렀다. 지리산 반달가슴곰 프로젝트는 성공적인 생물 복원 사례로 평가받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최상위 포식자인 곰이 사람에게 해를 끼치면 어쩌나 하는 우려를 표하기도 한다. 잘살라고 하던 반달가슴곰이 예시가 도니다. 전문가들은 반달가슴곰이 사람을 피하는 동물이라

인간과 공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우리가 보존해야하는 지켜야하는 동물이었다. 실제로도 아직 인명피해는 없다.

하지만 양봉농가에서는 경제적인 피혜사례가 많다. 코로나의 시작점이 박쥐라는 소문이 있었다.

이책의 인간들에게 공포와 혐오의 존재가 되어버린 동물들을 소개한다.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과거와 미래의 유해동물이 되어버린,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가 사랑하는 동물과 미워하는동물의 구분은 더욱 뚜렷해졌다 .특히 서구 문화에서 그랬다.

p. 29

나는 비단뱀을 꼭 죽일 필요가 있느냐고 묻는다. 버마비단뱀은 사실 세계 자연보전연맹의 적색목록에 그 뱀의 토착서식지에서 취약한 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p. 109

모든 동물은 어떤 환경을 통과할 때 어떻게든 그곳을 바꿔놓는다. 인간은 물론 엄청나게 많이 바꾼다. 우리는 밟아서 길을 내고, 콘크리트 슬래브를 깔고, 작물을 심고, 아스팔트로 포장하고, 그 밖에도 무수한 방식으로 환경을 변화시킨다.

p.359

우리의 혐오, 두려움, 경멸은 어디에서 비롯될까? 다시생각해보자면, 동물들에게 우리가 그러한 존재가 아닐까 싶다.

*출판사 '북트리거'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북트리거 #나쁜동물의탄생 #베서니브룩셔 #아마존에디터스픽 #뉴욕타임즈 #환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