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이라면 군주론
김경준 지음 / 믹스커피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누구나 현실과 이상의 중간지대에서 살아간다. 나아가 인류가 지나온 발자취를 보면 땅을 바라보는 현실론과 하늘을 쳐다보는 이상론의 두 관점이 반복되었다. 각자 확고부동한 장단점과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사람이 빵만으로 살 수 없지만 빵 없이도 살 수 없는 현실에서 ‘현실적 리더십’은 생존의 필요조건이다. 이 책 『오십이라면 군주론』은 고귀한 이상을 추구하려면 냉엄한 현실을 다루는 현실적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사상을 그의 대표작 『군주론』과 다양한 사례로 해석하고 논증해 전하고 있다. 흔히 마키아벨리를 ‘선악을 가리지 않는 목적지상주의자’ 정도로 알고 있는데, 실체는 실종되고 단편적 이미지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성, 조직의 성격, 리더십, 통치 기술 등의 핵심을 꿰뚫는 고전 『군주론』을 제대로 짚을 필요가 있다.

군주란 주권을 독점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 지위에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군주론은 군주가 권력을 유지,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게 아닐까싶다. 처음 군주론에 대한 책을 쓴 마키아벨리의 관점, 사상을 다양한 사례로 해석한다. 


세상살이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냉혹한 현실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배덕 아닌 초도덕을 갈파하다
패러다임 전환시대의 최전선
윤리와 정치를 분리한 현실적 리더십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한 자는 비난받는다
지천명에 공감하는 마키아벨리의 통찰
생존과 번영을 위한 보편적 진리


누구에게나 모든게 보이는 건 아니다. 많은 사람이 보고 싶어하는것밖에 보지 않는다. 라고 로마의 위대한 정치가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말했다 .현실을 경험하지 못하고 추상적 명분에 사로잡혀 있거나 선과 악이라는 단순한 이분법의 구도에 매몰된 사람은 마키아벨리를 이해할 수 없다.p.  022

<오십이라면 군주론> 이라는 책은 마키아벨리가 전하는 삶의 본질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내삶의 리더가 되는 방법은 무엇인지 위기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역사의 패턴, 굽히치고 흔들려도 다 잡고 나아가는 힘,  마지막으로 군주론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수 있는지를 다룬다. 나는 내삶의 주체는 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군주론을 내삶의 주체 군주인 나를 위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을 냉철히 바라보며 마키아벨리는 수백년이 지난 우리의 삶에 어떤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했을까,   이책의 책제목 오십이라면 군주론에서 오십은 지천명의 나이이자, 우리가 50세가 되었을때 조직에서 리더가 되어있을것이고, 그런 나잇대에서 느낄수 있는 현실감과 이상을 뜻하기도 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나름의 관점이 생기고 성립되는 나이일수도 있다.  원하는 삶을 추구하고 만들려면 냉혹한 현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어떻게 다루면서 원하는 목표를 이뤄갈 수 있는지 마키아벨리의 통찰을 통해 다양한 군주론 바탕의 이야기들로 보여준다.  

자기중심, 이기심은 비단 인간이 아닌 모든 생물의 기본적 본능이다. 생명체로서 인간은 생존과 번식이라는 기초적 본능의 지배를 받고 생존과 확장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구하려는 건 당연하다. 생존하고 번식하는 인간의 기본 방식은 다른 생물과 크게 다를게 없다. 이기심은 그 중심에 있다.p. 33


군주가 동원할 수 있는 무력은 본국 군대, 용병 ,외국 원군 및 세가지를 혼합한 혼성군이 있다. 이 가운데 용병과 외국 원군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위험하다. 군주가 용병으로 국가의 토대를 구축했다면 장래의 안정을 보장할 수 없다.p. 55
군주가 나라를 잃는 첫째 원인은 이 직무를 소홀히 하는데 있으며, 군주가 되는 기초도 이 직무에 정통한가 여부에 달렸다.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무력을 지니고 있었으므로 평민에서 밀라노 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그의 아들들은 군사를 귀찮아 하고 피했기 때문에 평민으로 전략하고 말았다. - 군주론 14장 p. 135


*출판사 '원앤원북스'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원앤원북스 #오십이라면군주론 #군주론 #지천명 #김경준 #믹스커피출판사  #마키아벨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