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간병 7년, 유머와 비탄의 회고록 인도계 미국인 과학자 프렘 자우하르는 어느 날부턴가 깜빡깜빡하는 일이 잦아졌다. 오래 알고 지낸 지인들 이름이 기억나지 않았고, 새로 산 금고 비밀번호도 가물가물했다. 한동안은 그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레 찾아온 기억력 감퇴라고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건망증이라기엔 심상치 않은 징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모임에선 툭하면 했던 이야기를 하고 또 했고, 가족사진 속 얼굴들이 문득 낯설게 보이기도 했으며, 외출했다 집을 찾지 못해 길을 잃는 날도 있었다. 아내는 아들들을 집으로 불렀고, 그를 신경과 의사에게 데려가게 했다. 거기서부터 이 책의 여정은 시작되었다.
이책은 프렘의 둘째 아들이자 심장내과의인 샌디프 자우하르가 2014년 가을 부터 7년간 알츠하이머병을 앓으며 기억을 ,세상을 끝내는 자기 자신을 잃어간 아버지를 회고한 책이다. 이책은 단순히 관계와 돌봄을 다루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속에 있는 고통스러우리만큼 진솔한 고백 또한 담았다.
뇌의 퇴화와 정신의 침식에 관한 의학적 탐구이자 기억이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관한 성찰도 있다.
나이가 듦에 따라 다양한 병에 걸리겠지만 알츠하이머라는 병은 나에게는 제일 무서운 병이라는 생각이 든다. 행복한 기억, 슬픈기억 다양한 기억들로
인생을 살아온 사람이 기억을 점점 잃어가며 태어났을때의 태초로 돌아가는 것 같은 병이기 때문이다. 나는 행복한 기억으로 살아가는 사람인데 만약 내가
나이를 들어서 알츠하이머에 걸린다면 정말 불행하고 암울한 나머지 여생을 보낼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책은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가족의 입장으로
제일 그와 가까운 곳에서 바라본 이야기를 담았다. 기억이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흐릿해지고 달라지는 와중에도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을 들여다본다. 또한 사람으로서 존재한다는 것의 개념이 치매로 인해 복잡해지는 까닭과 더불어, 이 모든 것이 환자와 그 가족에게, 그리고 사회에 갖는 의미까지 두루 살펴본다.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돌보는 동안 그분이 나날의 일상에서 마주쳐야 했던 상실과 혼란을 옆에서 목격한다. 곁에 있는 사람도 적잖히 충격이 휘몰아치겠지만
당사자는 더 힘들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억을 추억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얼마나 힘든 삶이 될지 결코 가늠이 안됐다.
아버지의 눈빛에 응답하듯 가족의 역사와 자신의 기억을 동원해 그분을 기억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동안 생각해본 적 없던 방식으로, 삶과 죽음이라는 당연하고도 근본적인 인간 존재의 조건을 새삼 의식하면서 부친과의 관계를 재설정한다.
내가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내 인생의 대부분을 나와 함께했던 사람들이 점점 나와의 기억을 잃어버리고 나중에는 나라는 존재가 있다고도 잃어버려서 언젠가는 내곁에 남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면 정말 슬플것 같다. 알츠하이머를 바라보는 시선들을 읽으며 나는 지금의 삶을 더 행복하고 즐겁게 보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싿.
때로는 자기계발서를 읽을때면 지금 살고 있는 하루하루가 내가 너무 허비하고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어느날은 이런 책을 읽으며 하루하루 헛되게 보내고 그 하루가 나에게는 사소한 행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인생은 마음가짐에 따라 변화하지만 참 어려운것 같다.